강릉시청을 중심으로 한 강릉시내 모습강릉시청 제공
2018평창겨울올림픽 특수를 노린 바가지요금으로 논란을 빚었던 강릉·평창지역 숙박업소들이 저조한 예약률에 대규모 공실 사태를 우려해야 할 처지에 놓였다.
6일 강원도가 파악한 강릉·평창지역 숙박요금 동향을 보면, 예약률은 1495개 업소(객실 수 1만6286개)에 180개 업소(객실 수 4163개)로 12%에 불과하다. 객실 수 기준으로 봐도 26%에 불과하다. 이 가운데는 평창올림픽조직위원회가 국제올림픽위원회(IOC) 관계자 등을 위해 경기장 인근 호텔과 리조트 전체를 빌린 사례 등도 포함돼 있어 일반 관광객의 계약률은 더욱 낮다.
여기에 평창에서 자동차로 1시간 남짓 걸리는 충북 제천시가 숙박료 할인과 제천~평창 간 무료 셔틀버스라는 파격 제안을 하는 등 인근 지자체의 평창올림픽 특수를 겨냥한 틈새시장 공략도 시작돼 위기감이 더욱 커지고 있다. 강릉과 자동차로 불과 30분 떨어진 속초시 설악동 게스트하우스 23동도 올림픽 방문객 유치를 위해 5~8만원의 저렴한 가격과 무료 셔틀버스를 내세우며 올림픽 관광객 유치에 나섰다. 그 결과 침대방 1200실 가운데 40%는 예약이 끝난 상태다.
최근에는 바가지요금과 개별 관람객 예약거부 등 숙박 문제가 이슈화되면서 관람객들이 ‘차라리 텔레비전으로 보겠다’는 등 올림픽 개최지 숙박을 포기하는 분위기까지 감지되고 있다.
사정이 급박하게 돌아가자 강릉·평창 숙박업소에선 비상이 걸렸다. 평창올림픽이 60여일 앞으로 다가왔지만 정작 개최도시의 예약률이 좀처럼 높아지지 않자 강릉·평창에선 대규모 공실 사태를 우려하는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강릉시는 바가지요금 근절을 위해 특별단속팀을 꾸렸다. 건축과와 보건소, 소방서 등 숙박업소 관련 부서 공무원이 총출동해 과도한 요금을 요구하는 업소를 대상으로 건축법과 주차장법, 공중위생법, 소방시설 등 관련 법령에 의해 할 수 있는 한 최대한의 집중 단속을 펴겠다는 것이다. 바가지 업소에는 세무조사도 의뢰하기로 했다.
최명희 강릉시장은 “바가지요금 문제가 이슈가 될 때 선제적으로 대처하지 못한 것은 큰 실수였다. 잘못 끼운 단추지만 더 늦게 전에 다시 끼우지 않으면 강릉의 미래는 없다는 절박감으로 숙박요금 안정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손정호 대한숙박업중앙회 강릉시지부장도 “과다한 숙박요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저부터 객실 요금을 30만원에서 15만원으로 반값으로 낮추겠다. 모든 숙박업소가 적정 요금으로 올림픽 손님맞이에 나설 것으로 다짐한 만큼 그동안의 오해를 풀고 올림픽 기간 강릉을 방문해달라”고 호소했다. 박수혁 기자
ps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