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레의 주원료로 항암 효과와 혈중 콜레스테롤 조절 기능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강황이 위장을 보호하는데 탁월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포스텍(포항공과대학교) 생명과학과 김경태 교수와 김 교수 연구실에서 설립한 벤처기업 ㈜뉴로넥스 연구팀은 강황 추출물이 위산 분비를 효과적으로 조절·억제하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23일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약리 학회지> 12월호에 게재될 예정이다. 음식물을 섭취하면 위에서 이를 분해하기 위해 위산이 분비되는데, 이때 위산이 주변의 위벽에 손상을 줄 수 있어 위점액도 같이 분비된다. 하지만 과식·스트레스 등으로 위산이 과다 분비돼 적절한 균형이 깨질 경우 위궤양·위암 등 위 질환이 유발된다.
연구팀은 강황 성분 중 에탄올과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이용, 이 성분이 위산 분비를 조절하는 ‘히스타민2 수용체’를 억제시키는데 결정적인 기능을 하고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특히, 이번 연구를 통해 ‘천연물질 성분에 의한 히스타민 2 수용체와 세포신호 전달물질 생성-단백질인산화효소 에이 활성화-소화를 위한 위산의 위장관 내부 분비’로 이어지는 위산 분비조절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로 부작용이 없는 위장 관련 천연 신약 개발에 큰 진전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편, 강황은 생강과의 한해살이 풀로 울금이라고도 한다. 카레가루의 향신료로 많이 쓰이고 간 해독기능과 항암작용, 상처치료 등에 효과가 있는 성분이 다량 함유된 것으로 알려졌다.
포항/박영률 기자 ylpa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