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0여명’
해마다 만 18살이 돼 아동복지시설을 떠나는 ‘보호종결’ 청소년 수다. 이들은 아동복지법에 따라 만 18살이 되면 복지시설을 떠나 홀로서기를 해야 한다. 각 지자체에서 자립정착금을 지원하지만, 지자체마다 100만~500만원에 불과하다. 부산은 한 사람당 정착지원금이 500만원이다.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아동자립지원단이 지난해 8~10월 18살 이상 5년 이내 보호종결 처리된 1221명을 대상으로 한 ‘2016 보호종결 아동 자립실태 및 욕구조사’ 결과를 보면, 복지시설을 떠난 뒤 이들의 한 달 평균 수입은 123만원 수준이다. 올해 월 최저 임금 135만2230원에도 못 미친다. 하지만 이들은 월세 등 생활비 등으로 한 달 평균 최소비용 138만원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호종결 뒤 기초생활수급 경험이 있는 이도 40.7%에 달했다.
조사대상 가운데 복지시설에서 나온 뒤 기계조작 등 단순직에서 일하는 이가 50.9%로 절반이 넘었다. 이 가운데 24.1%는 학력·기술·자격증 부족 등으로 취업에 어려움을 겪었다고 응답했다. 이들의 대학진학률은 27.5%에 불과했다. 교육부 통계를 보면, 2016학년도 우리나라 고교생의 대학진학률은 69.8%다.
복지시설 보호종결 청소년을 위한 지자체의 공무원 취업 프로젝트가 진행된다. 부산진구는 11일 “부암동에 있는 매실보육원 퇴소 청소년에게 공무원 취업 준비를 지원하는 내용의 ‘2018 공무원 만들기’ 프로젝트를 내년 2월부터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보육원 퇴소 청소년에게 공무원 관련 취업 정보를 제공하고, 공무원을 희망하는 청소년에게 공채에 필요한 교재비 등 비용을 지원하는 것이다.
부산시는 올해 9급 공무원 공채에서 전체 모집 인원 1146명 가운데 80명(7%)을 저소득층에서 뽑았다. 공채 저소득층 응시자격은 보호대상에 해당하는 기간이 응시원서 접수마감일까지 2년 이상이어야 한다. 보육시설 퇴소 청소년 대부분은 저소득층에 속한다. 부산진구는 이 부분을 눈여겨보고 프로젝트를 추진하게 됐다.
부산진구는 이달 중 매실보육원 쪽과 협의를 마친 뒤 내부 검토를 거쳐 프로젝트를 구체화하기로 했다. 이어 구장학회와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등 관련 기관과 협의해 지원 가능 범위와 예산을 확인한 뒤 내년 1월께 ‘사회적 약자에 대한 공무원 특별지원제도’를 발표할 계획이다.
부산진구 희망복지과 관계자는 “프로젝트가 자리 잡으면, 형편이 어려운 지역 청소년까지 대상을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김영동 기자
yd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