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에 근무하는 비정규직 930여명 중 겨우 300여명이 정규직으로 전환될 것으로 알려져 지역노동계의 거센 반발이 예상된다. 대구시 제공
대구시에서 근무하는 비정규직 930여명 가운데 정규직으로 전환되는 직원은 300여명에도 못미칠 것으로 알려졌다. 파견용역직과 단시간노동자 등 550여명∼630여명은 정규직 전환이 어려울 전망이지만 뾰족한 대책이 없는 형편이다. 대구시는 11일 “정규직전환심의위원회를 최근 3차례 열어 논의했다. 앞으로 1∼2차례 더 회의를 연 뒤 오는 20일까지 정규직전환심의를 끝내고 올해안에 정규직전환 업무를 마무리지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대구시청과 종합복지회관, 농산물도매시장, 문화예술회관 등 산하기관 10여곳에 근무하는 비정규직은 930여명을 웃돈다. 이 가운데 영양사와 조리사, 사무보조원 등 기간제노동자 371명만 정규직전환대상에 포함돼있다. 정영준 대구시 기획조정실장은 “371명을 대상으로 현재 심사를 하고 있다. 이들 가운데 1년동안 9개월이상 근무를 하는 직원이면서 앞으로 2년 동안 업무가 없어지지 않고 유지되는 직종에 근무하는 직원들이 심사를 거쳐 정규직으로 전환된다”고 말했다. ‘대구시 정규직전환심사위원회’는 정 실장을 포함한 공무원 3명, 변호사 1명, 노무사 2명, 교수 1명 등 외부인사 4명 등으로 구성돼있다. 정규직전환심사위원장은 기획조정실장이 맡고 있다. 대구시쪽은 “371명 중 몇 명이 정규직으로 전환될지는 심사를 해봐야 한다”고 밝혔지만 대구시관계자들은 “300명을 넘지는 않을 것으로 안다”고 털어놨다.
이번 정규직전환심사에서는 대구시 종합복지회관, 대구여성회관, 동부여성회관 등 산하기관에 근무하는 시간강사 등 단기노동자 158명은 정규직전환대상에 포함되지 않아 그대로 비정규직으로 남을 것으로 전해졌다. 대구시관계자는 “이들은 최소한 1주일에 14시간 이상 근무를 하지만 정규직 전환심사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또 청소와 경비업무에 종사하는 파견용역직 409명도 정규직이 되지 못한다. 대구시는 “파견용역직은 이번 전환심사에서는 포함되지 않는다. 내년에 추가심사를 할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대구도시철도공사, 대구시설공단, 대구도시공사, 대구환경공단 등 대구시 산하 공기업 4곳에서도 비정규직 1천여명을 대상으로 정규직전환작업을 진행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구대선 기자
sunny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