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철도 ‘오송역’의 이름이 바뀔까?
고속철도 오송역 명칭 개정 추진위원회가 11일 충북 청주시에서 출범했다. 추진위원회에는 남기용 오송 이장단협의회 등 주민대표 6명, 염우 풀꿈재단 이사 등 시민사회단체 대표 5명, 김태수(더불어민주당)·박금순(자유한국당) 청주시의원, 손세원(충청대)·김은희(청주대) 교수 등 15명이 참여했다.
이범석 청주시장 권한대행(왼쪽 아홉째)과 고속철도 오송역 명칭 개정 추진위원 등이 11일 청주시청에서 오송역 명칭 개정 논의를 시작했다.청주시청 제공
이들은 먼저 오송역 이름을 바꿀지를 토의해 변경 추진이 확정되면, 오송역 이름 변경 방법, 시기, 여론 수렴 방향, 여론조사 후보군 설정 등 로드맵을 정할 참이다. 이범석 청주시장 권한대행은 “오송역은 국내 유일의 고속철도 분기역으로 국가 엑스(X)축 고속철도망의 중심축이다. 100만명 청주시의 위상에 걸맞은 역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여론조사·토론회 등 공론화 과정을 거쳐 새 역 이름 후보가 정해지면 청주시 지명위원회 심의를 거쳐 철도시설공사에 개명 요청을 하고, 국토교통부 역명 심의위원회 등을 통해 새 이름이 확정된다. 박구순 청주시 광역교통팀장은 “공론화 과정, 행정 처리 등을 거치려면 대략 1년 정도 시간이 필요하다. 빠르면 2019년께 새 이름을 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새 이름 후보군으론 ‘청주 오송역’, ‘오송 청주역’, ‘청주 오송 세종역’, ‘오송역’ 등이 오르내리고 있다. 지난 6월 충북연구원이 진행한 철도이용환경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에선 ‘청주 오송역’이 우세한 것으로 조사됐다.
오송역 명칭 논란은 오송역이 설치된 2010년부터 계속됐다. 당시 청주시는 청주와 오송을 함께 쓰는 안을 냈지만, 청원군은 오송역 소속 행정구역인 오송을 고집했다. 2014년 청주와 청원이 통합한 뒤 다시 오송역 이름 논란이 재연돼 여론조사, 연구용역이 진행됐지만 오송주민 등의 반대로 제자리에 머물고 있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