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전국 전국일반

음식물쓰레기 사료화사업 겉돈다

등록 2005-11-24 22:17수정 2005-11-24 22:17

광주, 광우병 영향 재활용 사료판매 ‘뚝’ 연간 수십억 지원…퇴비화 전환 주장도
해마다 처리비 수십억원을 지원하는 광주시의 음식물쓰레기 사료화사업이 폐자원을 재활용한다는 애초 뜻을 살리지 못한 채 겉돌고 있다.

광주시의회 윤난실 의원은 24일 행정사무감사에서 “광주시내에서 한해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 7만1199t 가운데 선별·탈수·압축 등 공정을 거쳐 사료로 만들어지는 분량은 1546t”이라며 “이는 전체 쓰레기량의 2.1%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매립장에 다시 버려진다”고 지적했다.

시는 1999년 4월 40억원을 들여 서구 유촌동에 하루 200t을 처리할 수 있는 삼능음식물쓰레기 사료화공장을 준공해 운영중이며 지난해 처리비로 1t당 5만6643원씩 모두 40억3300만원을 지원했다.

또 올 들어 72억원으로 광산구 본덕동에 처리 용량 150t 규모로 제2사료화 공장을 짓고 시험가동에 들어간 데 이어 2009년까지 제3사료화 공장을 건설할 계획이다.

이렇게 사료화를 위한 투자가 늘고 있지만 음식물쓰레기를 재활용한 가축사료는 광우병과 구제역 파동을 겪으면서 판매량이 뚝 떨어져 지난해 겨우 7200만원 어치가 팔렸을 뿐이다.

윤 의원은 이에 대해 “판로도 불투명한데다 원가총액을 비교해도 사료화는 40억3300만원, 퇴비화는 34억2298만원으로 6억1000만원이 차이나는 만큼 퇴비화로 전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효성 시 폐기물관리과장은 “사료용 곡류의 수입의존도가 95%에 이르러 재순환에 정책의 무게가 실릴 수밖에 없다”며 “퇴비화 방식은 악취가 심하고 유통이 어려운데다 넓은 공간이 필요해 도시지역에서 시행하기 어렵다”고 답변했다.

광주/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전국 많이 보는 기사

대전 초등생 살해 교사 “어떤 아이든 상관없이 같이 죽으려 했다” 1.

대전 초등생 살해 교사 “어떤 아이든 상관없이 같이 죽으려 했다”

HDC신라면세점 대표가 롤렉스 밀반입하다 걸려…법정구속 2.

HDC신라면세점 대표가 롤렉스 밀반입하다 걸려…법정구속

“하늘여행 떠난 하늘아 행복하렴”…교문 앞에 쌓인 작별 편지들 3.

“하늘여행 떠난 하늘아 행복하렴”…교문 앞에 쌓인 작별 편지들

대전 초교서 8살 학생 흉기에 숨져…40대 교사 “내가 그랬다” 4.

대전 초교서 8살 학생 흉기에 숨져…40대 교사 “내가 그랬다”

살해 교사 “마지막 하교하는 아이 유인…누구든 같이 죽을 생각” 5.

살해 교사 “마지막 하교하는 아이 유인…누구든 같이 죽을 생각”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