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광우병 영향 재활용 사료판매 ‘뚝’
연간 수십억 지원…퇴비화 전환 주장도
해마다 처리비 수십억원을 지원하는 광주시의 음식물쓰레기 사료화사업이 폐자원을 재활용한다는 애초 뜻을 살리지 못한 채 겉돌고 있다.
광주시의회 윤난실 의원은 24일 행정사무감사에서 “광주시내에서 한해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 7만1199t 가운데 선별·탈수·압축 등 공정을 거쳐 사료로 만들어지는 분량은 1546t”이라며 “이는 전체 쓰레기량의 2.1%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매립장에 다시 버려진다”고 지적했다.
시는 1999년 4월 40억원을 들여 서구 유촌동에 하루 200t을 처리할 수 있는 삼능음식물쓰레기 사료화공장을 준공해 운영중이며 지난해 처리비로 1t당 5만6643원씩 모두 40억3300만원을 지원했다.
또 올 들어 72억원으로 광산구 본덕동에 처리 용량 150t 규모로 제2사료화 공장을 짓고 시험가동에 들어간 데 이어 2009년까지 제3사료화 공장을 건설할 계획이다.
이렇게 사료화를 위한 투자가 늘고 있지만 음식물쓰레기를 재활용한 가축사료는 광우병과 구제역 파동을 겪으면서 판매량이 뚝 떨어져 지난해 겨우 7200만원 어치가 팔렸을 뿐이다.
윤 의원은 이에 대해 “판로도 불투명한데다 원가총액을 비교해도 사료화는 40억3300만원, 퇴비화는 34억2298만원으로 6억1000만원이 차이나는 만큼 퇴비화로 전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효성 시 폐기물관리과장은 “사료용 곡류의 수입의존도가 95%에 이르러 재순환에 정책의 무게가 실릴 수밖에 없다”며 “퇴비화 방식은 악취가 심하고 유통이 어려운데다 넓은 공간이 필요해 도시지역에서 시행하기 어렵다”고 답변했다.
광주/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