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 복원 추진에 마한에 대한 관심 부쩍 늘어
국회 계류 중인 고대문화 조사 특별법만 5건
전남 영암군 시종면 내동리의 마한시대 쌍무덤 영암군청 제공
정부가 국정 100대 과제로 낙동강 주변 가야사 복원을 추진하면서 영산강권 마한에 관심이 커지고 있다. 전남도는 4일 아직 발굴하지 않은 영암 내동리 쌍무덤과 함평 금산리 방대형고분 등 마한 유적 조사에 나서는 등 마한 유적 연구와 복원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영암 내동리 쌍무덤은 마한세력 중심지역 최대 고분이다. 함평 금산리 방대형고분은 고대 한일교류를 추적해볼 수 있는 형태여서 주목 받아왔다. 영산강권에는 기원전 3세기부터 4세기까지 독자 정치체를 형성했던 마한 유적 523건(문화재 지정 38건)이 흩어져 있다. 이가운데 503곳은 고분, 18곳은 생산유적, 2곳은 생활유적이다. 도는 마한 역사를 복원하고 유적을 관리하기 위해 영산강유역 마한문화권 개발기본계획을 세웠다. 이 계획을 보면 2018~2027년 10년 동안 6911억원을 들여 마한문화권 실체를 조사·연구하고, 발굴·복원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마한 유적 분포지도를 만들고, 중요 유적 발굴을 위한 기초연구를 진행한다. 해마다 두 차례 학술대회도 열어 연구 성과를 검증하고 공유한다. 도는 오는 3월 마한문화권 개발 지원 조례를 만들어 사업을 뒷받침하기로 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해 6월 남부권에 수백 년 존재했던 연맹체 가야 연구와 역사복원을 지시했다. 이어 영호남 장벽을 허물 수 있도록 문화권 개발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정을 추진 중이다. 20대 국회에 계류된 고대역사문화권 연구·조사 관련 특별법은 가야 2건, 마한 1건, 신라 2건, 백제 1건 등 모두 5건에 이른다. 손명도 전남도 문화정책팀장은 “마한은 단계적으로 백제에 병합되면서 역사에서 잊혀진 존재가 됐다. 하지만 옹관묘 등을 통해 실체가 분명하게 드러난 만큼 별도의 고대문화권으로 인정해야 마땅하다. 낙동강권과 영산강권 고대문화를 전체적으로 조망하려는 국가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