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장현 시장 임기 내 도시철도2호선 착공반대 시민모임’ 회원들이 10일 광주시청 앞에 설치한 천막농성장 앞에서 손팻말을 들고 홍보전을 펼치고 있다. 정대하 기자
광주시가 전 구간 환경영향평가가 끝나기도 전에 도시철도 2호선 공사를 서둘러 착공하는 것에 반대하는 시민들이 릴레이 단식농성에 들어갔다.
‘윤장현 시장 임기 내 도시철도2호선 착공반대 시민모임’은 10일 광주시청 앞에 세운 천막 안에서 지난 8일부터 사흘째 단식농성을 이어가고 있다. 시민모임 김창수 지혜학교 이사장은 “시민단체 관계자와 마을활동가 등이 하루에 1~2명씩 돌아가며 참여하는 방식으로 6월 말까지 단식농성을 계속 이어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시민모임은 시가 6월 말 윤장현 시장 임기 임기가 끝나기 전에 일부 구간(2.89㎞)을 쪼개 우선 착공하려는 것은 ‘꼼수행정’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올 12월 말 전 구간(41.9㎞) 환경영향평가가 끝나면 그 결과를 반영한 실시설계 용역이 내년 1월 나온 뒤 공사를 시작해야 안전성에 문제가 없다는 것이다.
‘윤장현 시장 임기 내 도시철도2호선 착공반대 시민모임’ 소속 김정수 전 참여환경연대 대표가 10일 광주시청 앞 천막 안에서 도시철도 2호선 우선 착공에 반대해 단식농성을 하고 있다. 정대하 기자
지하를 굴착해 건설하는 도시철도 2호선 총사업비 2조579억원 가운데 40%(8231억원)는 시가 분담해야 한다. 2019년부터 해마다 1000억원이 넘는 예산이 지하철 2호선 공사비로 투입되면, 사회복지 등 다른 분야 예산 집행에 어려움이 따를 수밖에 없다. 시민모임 쪽은 “경남 창원시는 도시철도 건설계획을 세웠다가 재정 건전성이 악화하고 효율성이 낮다는 이유로 2014년 사업을 철회했다”며 “지하철 공사를 강행해 시 재정이 악화하면 그 빚더미를 떠안을 사람은 광주시민이고 청년”이라고 지적했다.
시민모임은 도시철도 2호선 우선 착공과 건설 방식이 타당한지를 시민공론화위원회를 꾸려 시민여론을 심층적으로 모으자고 제안했다. 건설비용이 3분의 1 수준인 무가선 트램(노면전차)이나 ‘제4차 스마트 혁명시대에 맞는 새로운 교통 패러다임’ 등 대안도 함께 고민해보자는 것이다.
반면 광주상공회의소는 이날 성명서를 통해 “도시철도 2호선 건설은 1조2천억원이 넘는 국비를 확보했으며, 차량제작 구매 계약까지 마치고 실시설계에 들어간 상황”이라며 “지역 여론 분열로 공사가 지연되면 될수록 총사업비는 계속 증가해 시 재정 부담은 더 가중되기 때문에 조속히 공사를 시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정대하 기자
daeh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