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대 의대생들이 지난 10일 전북교육청에서 서남대 학생 특별편입학을 반대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비상대책위 제공
다음달 말 폐교하는 서남대학교 학생 특별편입학과 관련해 전북지역 의대생 반발이 커지고 있다.
‘서남의대 특별편입 전북의대·의전원(의학전문대학원) 비상대책위원회’는 지난 12일 헌법재판소에 이남호 전북대 총장을 상대로 헌법소원을 냈다. 재학생 201명 이름으로 낸 헌법소원 심판청구서에서 “학교 쪽이 서남대 특별편입학 모집요강을 발표하면서 재학생들의 교육받을 권리가 침해되지 않기 위한 사전·후속 조치를 수립하지 않았다. 학교 쪽 모집요강 공고행위는 청구인들의 교육받을 권리와 행복추구권을 정면으로 침해한다”고 밝혔다.
학생들은 교육부와 국민권익위원회에도 같은 내용의 민원신청서를 냈다. 대책위는 민원신청에 대해 교육부가 답변하지 않거나, 회신내용이 미진하면 행정소송을 진행할 계획이다. 또 대학 쪽이 학습권 보장 없이 특별편입을 계속 강행하면 동맹휴학도 불사할 방침이다. 졸업을 앞둔 본과 4학년을 뺀 5개 학년 470여명 가운데, 절반이 넘는 240여명이 동맹휴학을 결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학생들은 “전북대 학생들의 희생을 강요하는 대책없는 서남대생 특별편입은 받아들일 수 없다. 학교 쪽 대책은 시설개선에만 치우친 보여주기식으로 이마저도 3월 개강을 고려하지 않은 비현실적인 대안”이라고 주장했다. 대책위 관계자는 “서로 배웠던 커리큘럼이 다른데 같은 학년으로 들어와 한 강의실에서 수업하는 것은 우리들을 배려하지 않은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10일 전북대는 “전북지역 의료서비스 개선 및 인프라 확충이라는 장기적 안목으로 특별편입을 바라봐야 한다. 예산 15억원을 들여 새 학기 개강 전에 강의실·임상실습센터 등을 확충하고 2020년까지 750명을 수용하는 기숙사를 신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북대 의대생들이 지난 9일 교내 옛 정문 앞에서 서남대생 편입학을 반대하는 손팻말 시위를 벌이고 있다. 비상대책위 제공
원광대 의과대학 학부모와 학생도 반발하고 있다. 이들은 “전북대생의 편입학 반대로 원광대로 대규모 편입학이 우려된다. 서남대 의대 편입생을 100% 수용한다는 원광대 방침을 철회하라”고 주장했다. 원광대는 “서남대 의대생의 100% 수용은 사실이 아니다. 비율이 전북대 65%, 원광대 35%로 설정돼 있으며 추가 수용 편차는 5% 안팎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교육부 폐쇄명령으로 다음달 말 문을 닫는 서남대의 재적생은 모두 1879명으로, 이 가운데 의대생은 300명(4학년 포함)이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