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부산지부가 24일 부산시청 앞 광장에서 신규채용 방식으로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추진하고 있는 부산교통공사를 비판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부산 노동단체들이 신규채용 방식으로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추진하는 부산교통공사를 비판하고 나섰다. 사실상 비정규직 노동자 전원 해고와 다를 바 없다는 것이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부산지부는 24일 부산시청 앞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도시철도를 운영하는 부산교통공사는 기존 비정규직 노동자의 정규직 전환을 보장하라. 공개채용 계획을 폐지하라”고 촉구했다. 공공운수노조 부산지부는 “정부 지침에는 현재 비정규직 노동자의 정규직 전환이 원칙이고, 예외적인 경우에 한해서 공개채용을 권고하고 있다. 부산교통공사의 공개채용 계획은 비정규직 노동자의 대량 해고를 불러오는 잘못된 행태”라고 비판했다. 이어 “서울시와 서울교통공사는 무기계약직 1288명을 해고 없이 정규직으로 전환했다. 부산시와 부산교통공사도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라”고 촉구했다.
부산교통공사는 지난해 2월 도시철도 1호선 연장선인 다대선 개통으로 발생한 인력부족을 해결하려고 정규직 일자리였던 모터카 운전, 차량 및 통신 유지보수 분야 등에 비정규직 노동자 83명을 채용했다. 이어 지난해 12월 같은 분야에 66명분의 일자리를 정규직으로 뽑겠다고 밝혔다. 기존 노동자의 정규직 전환이 아니라 공개채용을 통해 새로 뽑는다는 것이다. 다만, 기존 비정규직 노동자는 공개채용 시험에 응할 때 가산점을 주기로 했다. 부산교통공사는 “비정규직 노동자를 채용할 때 근로계약 기간을 1년으로 명시했다. 일자리 형평성 문제 등으로 비정규직 직원을 곧장 정규직으로 전환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이에 비정규직 노동자 ㅇ씨는 “애초 공사가 무기직 전환을 약속했는데, 말을 바꿨다. 그때 채용된 비정규직 노동자 가운데 절반가량이 40~50대인데, 두세 달 안에 필기시험을 준비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힘들다. 가산점은 의미 없다. 비정규직 노동자를 사실상 해고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영동 기자
yd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