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태영 시장이 30일 <한겨레>와 인터뷰에서 수원시의 여자 아이스하키 실업팀 창단 배경을 밝히고 있다.
염태영 수원시장은 평창 동계올림픽을 앞둔 지난 23일 국내 첫 여자 아이스하키 실업팀 창단을 선언했다. 발표 뒤 “여자 아이스하키 남북 단일팀 구성의 의미를 잘 살렸다”는 호평도 나왔지만, “시 의회와 상의도 없이 급조된 지방선거용”이라는 공격도 야당으로부터 나왔다. 심지어 “청와대와 사전 조율했다”는 이야기까지 나왔다.
30일 <한겨레>와의 인터뷰에서 염 시장은 아이스하키 실업팀 창단이 급조됐다는 비판은사실과 다르다고 했다. 염 시장은 “2년 후 완공되는 아이스링크를 사용할 빙상 팀이 있어야 한다는 고민은 꽤 오래됐다”는 것이다. 수원시엔 2020년 국제 규격의 아이스링크를 갖춘 복합체육시설이 완공되는데, 이 곳을 전용 경기장으로 사용할 팀이 마땅치 않았다는 것이다. 더욱이 평창 겨울올림픽을 앞두고 남북 단일팀 구성되면서 여자 아이스하키 실업팀의 필요성이 급부상했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실제로 남북 단일팀 논란이 한창이던 지난 17일 진천 선수촌을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에게 여자 아이스하키 선수들은 “안정적으로 운동할 수 있게 실업팀과 대학팀을 만들어달라”고 요청했다. 염 시장은 “올림픽이 끝나고 갈 곳 없는 선수들을 받아줄 곳으로 수원보다 더 나은 곳이 없다는 생각이 들어 논의를 서둘렀다”고 말했다.
23일 수원시가 여자 아이스하키팀의 창단을 발표하자, 이날 오후 수원시 의회의 자유한국당, 국민의당 의원들은 기자회견을 열어 “정부나 광역자치단체가 할 일을 왜 기초자치단체인 수원시가 하느냐”며 철회를 요구했다.
염 시장은 “국가대표팀을 운영하는 중앙정부가 실업팀을 만들 수는 없다. 수원시 산하의 14개 실업팀들은 다 비인기 종목들이다. 비인기 종목은 공공기관이 뒷받침해줘야 하고, 연간 12억원 정도는 시가 추가로 감당할 수 있다”고 말했다.
사전에 시 의회와 논의가 부족하지 않았느냐는 물음에 염 시장은 “발표 전 시 의장단에 논의를 요청했다”고 해명했다. 청와대의 눈에 들기 위해 창단을 서둘렀다는 비판에 대해선 “청와대와는 사전 조율할 시간도 없었다”고 반박했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사진 수원시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