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년 2월28일 대구지역 고교생들이 “학원을 정치도구화하지 말라”는 구호를 외치며 대구 도심지에서 거리시위를 벌이고 있는 모습. 대구시 제공
“학원의 자유를 달라”, “학원을 정치도구화하지 말라”
대구에서 58년전 고교생들이 자유당 독재정권에 맞서 거리로 뛰쳐나왔던 2·28민주운동 재현행사가 열린다.
대구시는 26일 “고등학생들이 독재와 부정선거에 맞서 일어섰던 2·28민주운동이 올해 처음으로 국가기념일로 승격됐다. 이를 기념하기위해 58년전 당시 거리시위를 재현하는 행사를 준비했다”고 밝혔다.
28일 오후1시 당시 민주운동의 집결지였던 대구 도심지 반월당에서 고교생 800여명과 시민 등 1천여명이 결의문을 낭독하면서 거리시위는 시작된다. 경북고교와 경북사대부고, 경북여고, 대구고, 대구공고, 대구농업마이스터고(옛 대구농고), 대구상원고(옛 대구상고), 대구여고 등 58년전 시위에 참가했던 8개 학교의 재학생 800명이 참가한다. 대구시와 대구교육청은 “각 학교에서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싶은 학생들을 중심으로 선발했다. 참가 학생들은 옛날 고등학생 교복 800벌을 맞춰입고 거리로 나온다.”고 말했다.
횃불을 앞세우고 태극기를 든 학생들은 “횃불을 밝혀라”, “학원의 자유를 달라” 는 등 당시 구호를 외치며 중앙로를 거쳐 2㎞ 떨어진 2·28기념중앙공원까지 거리시위에 나선다. 이어 공원에서 ‘2·28찬가 노래비’ 제막식이 열린다. 이 노래비는 대구지역의 언론계, 경제계 등에서 모금한 1650만원으로 제작했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대한민국 최초의 민주화운동인 2·28민주운동 정신이 대구를 넘어 대한민국의 소중한 정신자산이 될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발전시켜나가겠다”고 말했다. 대구시는 재현행사가 열리는 28일 오후1시부터 1시간동안 대구역∼중앙로∼반월당 구간에서 시내버스 등의 교통을 통제한다.
1960년 2월28일 대구시내 수성천변에서 야당 부통령후보인 장면 박사의 선거연설회가 계획됐다. 그해 3월15일 정·부통령 선거에서 패배를 의식한 자유당정권은 일요일인 28일 장면박사 유세에 학생들이 대거 참석할 것이라는 짐작으로 일요등교를 지시했다. 학교에서는 “시험을 친다. 영화관람을 한다. 토끼사냥을 간다”는 핑계를 대며 일요등교를 강행했다. 야만적이고 폭압적인 자유당정권의 간계를 파악한 대구시내 8개 고교 학생들은 불의에 몸을 떨며 거리로 나서 자유당정권을 규탄했다. 2·28민주운동은 들불처럼 전국으로 번져나가 대전, 수원, 부산을 거쳐 마침내 3·15마산의거, 4·19혁명으로 이어졌다.
구대선 기자
sunny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