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부산 연제구 부산지방고용노동청 앞에서 부산·울산·경남 노동단체가 납중독 노동자의 철저한 조사와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부산·울산·경남 노동단체들이 주물공장에서 몇십년 동안 일하다가 납중독된 노동자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대책 마련을 부산지방고용노동청에 촉구하고 나섰다.
금속노조 부산양산·경남·울산지부 등 노동단체는 7일 부산 연제구 부산지방고용노동청 앞에서 결의대회를 열어 “부산노동청은 주물공장 작업장 실태와 관리 현황을 공개하고, 납중독 사실을 은폐한 사업주를 처벌하라”고 요구했다. 이들 단체는 “납중독은 주물공장의 열악한 작업환경 때문에 발생하는 질병이다. 부산노동청이 안일한 대응으로 일관해, 잇단 납중독 사례에도 불구하고 최근 3년 동안 부·울·경 지역 주물업체에서 중독 발생이 한 건도 없다는 말만 하고 있다. 부산노동청은 납중독 재발방지 대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라”고 강조했다. 부·울·경 지역에는 540여개 주물공장이 있으며 노동자 6800여명이 일하고 있다.
민주노총 부산본부의 한 관계자는 “결국 납중독 노동자만 고통받고 있다. 사업주의 말만 듣고 부실하게 조사한 부산노동청의 책임이 적잖다. 노동자 건강권 확보를 위한 대책을 세워 진행하라”고 지적했다. ㅅ금속 등 주물공장에서 40여년 동안 일한 정아무개(63)씨는 2015년 건강진단에서 허용치의 두배가 넘는 혈중납중독 수치가 나와 대한산업보건협회로부터 납중독 판정을 받았다. 정씨는 대한산업보건협회와 회사 모두 건강진단 결과를 알려주지 않아 납중독 사실을 몰랐다가 2016년에서야 이를 알게 됐다고 한다.
정씨는 지난해 12월 노동단체의 도움으로 납중독 대책 마련을 호소했다. 이후 노동청 등은 ㅅ금속에 대한 실태조사 등을 진행했다. 부산노동청 산재예방과 관계자는 “ㅅ금속의 불법행위를 적발해 검찰에 기소의견으로 송치할 예정이다. 부·울·경 주물공장 작업환경 전수조사 등 납중독 관련 대책도 곧 시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글·사진 김영동 기자
yd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