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6월 영구 폐쇄된 부산시 기장면 고리원전 1호기 모습. 한겨레 자료사진
지난해 6월 부산 기장군 고리원전 1호기가 영구 폐쇄된 가운데 부산 지역구 국회의원 두 명이 고리원전 2~4호기의 연장 운영을 주장해 논란이 일고 있다. 부산의 환경단체는 부산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핵 위험에 내모는 무책임한 주장이라며 반발했다.
윤상직(부산 기장군)·김무성(부산 중구영도구) 자유한국당 국회의원은 지난 9일 부산 기장군 길천마을회관에서 열린 ‘고리2~4호기 연장운영 입법지원 토론회’에서 “고리원전 2~4호기를 10년 더 연장 가동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 의원은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신규 원전 건설은 사실상 백지화되었고 전기료 상승을 걱정해야 할 만큼 전력수급 문제도 심각해지고 있다. 온실가스 문제로 석탄발전에만 매달리기도 어려운데 안정적인 전력수급을 위해서는 고리 2~4호기가 연장 가동돼야 한다. 고리 2~4호기의 가동을 10년 더 연장하면 지역 경제효과는 3조원일 것이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은 "안전한 원전을 위험하다고 국민이 잘못 알고 있다는 게 잘못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나라에서 원전이 위험하다고 문을 닫는데 사우디에 가서 무슨 원전을 수출하겠느냐. 우리가 몇십 년 전에 미국에서 원전 기술을 배워왔는데 지금은 세계 1등이다. 일본은 우리보다 기술이 못 해서 후쿠시마 사고가 났다. 원전은 100년 돌려도 아무런 관계가 없다"고 주장했다.
두 의원은 주장은 대다수 부산시민이 고리원전 1호기의 수명을 10년 연장한 뒤 추가로 10년 더 연장하려는 움직임이 일자 안전이 우선이라며 반대했던 것과 거꾸로다. 문재인 정부가 건설 중인 신고리 5~6호기를 빼고 새로운 원전을 짓지 않겠다고 한 방침과도 배치된다.
이 때문에 부산환경운동연합은 성명을 내어 “부산시민들은 만성적 핵사고의 위험과 공포에 시달리고 있다. 신고리 5~6호기의 건설 재개 결정도 순수히 받아들이기 어려운 형국에 노후 원전을 계속 연장해서 운영하겠다는 것은 부산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핵 위험에 내모는 무책임한 주장일 뿐이다”고 비판했다.
또 “두 의원의 반생명적 반시민적 주장을 강력히 규탄한다. 원전업계의 이익을 위해서 부산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외면하는 두 의원은 노후 원전 수명 연장을 포함한 탈원전 정책에 반하는 주장과 시도를 당장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부산/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