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시민사회단체네트워크가 14일 오전 강원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레고랜드 사업에 대한 검증 결과를 발표하고 사업 중단을 촉구하고 있다. 시민검증단은 레고랜드 사업이 2428억원 규모의 적자가 예상돼 제2의 알펜시아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강원 춘천시민들이 7년째 표류하고 있는 레고랜드 사업에 대해 2428억원 규모의 적자가 발생해 ‘제2의 알펜시아’가 될 우려가 크다며 사업 중단과 책임자 처벌을 요구하고 나섰다.
춘천시민사회단체네트워크는 14일 오전 강원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레고랜드 사업에 대한 검증 결과를 발표하고 사업 중단을 촉구했다. 춘천시민연대와 춘천경실련 등 지역 10여개 시민사회단체가 참여하는 춘천시민사회단체네트워크는 지난해 10월부터 레고랜드 사업을 검증해왔다.
시민검증단이 엘엘개발(레고랜드 추진 특수목적법인)로부터 입수해 이날 공개한 ‘레고랜드 사업타당성 분석’ 자료를 보면, 레고랜드 완공 후 10년까지 필요한 자금은 6301억원이다. 강원도는 이 기간 출자금(500억원)과 연간 240만명의 입장료를 받는 것을 전제로 할 때 335억원의 수익이 발생한다고 봤다.
하지만 이 자료는 2016년 완공을 전제로 분석한 것으로, 7년째 사업이 표류하면서 출자금 미납과 문화재 발굴·이전 비용 증가, 기반조성비 증가 등의 영향으로 비용이 추가돼 실제 적자 폭은 2428억원 규모라는게 시민검증단의 분석이다. 권용범 춘천경실련 사무처장은 “레고랜드 사업은 강원도민에게 1조원에 이르는 부채를 안겨준 알펜시아의 복사판”이라고 지적했다.
강원도와 멀린(레고랜드 해외투자사)가 맺은 계약서가 강원도의 책임만 강조된 ‘노예계약서’라는 지적도 나왔다. 계약서에는 ‘자금조달과 문화재 등의 문제가 생겨 해결되지 않으면 멀린이 입은 손해를 배상해야 한다’고 명시돼 있다. 시민검증단은 또 레고랜드 사업 탓에 하루 이자만 1700만원, 토지신탁수수료 연간 1억2000만원, 엘엘개발 운영비 월 1억8000만원 등 연간 90억원의 혈세가 낭비되고 있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유성철 춘천시민사회단체네트워크 운영위원장은 “수천억 원의 적자가 불가피하다. 지금까지 투입된 자금 때문에 사업을 진행해야 한다는 것은 더 큰 부실을 가져올 가능성이 크다. 사업 중단이 해결책”이라고 말했다.
강원도청 관계자는 “시민단체가 제시한 자료는 초창기 통계로 현재 상황과 맞지 않는다. 3월 안에 레고랜드 전반에 대한 사업계획을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글·사진 박수혁 기자
ps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