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부산시청 앞에서 부산 시민·사회·작은 정당들이 포괄적 차별금지법 제정 부산연대를 출범했다. 출범 기자회견 뒤 차별을 깨는 컬링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부산의 시민·사회단체와 작은 정당들이 포괄적 차별금지법 제정을 촉구하는 연대를 결성했다.
부산장애인차별철폐연대 등 21개 단체는 28일 부산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포괄적 차별금지법 제정은 우리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드는 필수불가결한 과정이다. 이를 위해 각 단체가 함께하는 ‘차별금지법 제정 부산연대’를 출범한다”고 밝혔다. 부산연대는 “차별금지법 제정 목소리가 터져 나온 지 벌써 10년이 지났는데도 정부는 차별금지법 제정을 100대 국정과제에서 제외하는 등 사회적 합의를 이유로 차별금지법 제정을 미루고 있다. 국회 차원의 논의도 지지부진한 상태다. 부산시 기초단체의 인권조례는 개악되고 있다. 부산시 인권조례에는 핵심조항인 차별금지사유를 명시하지 않고 있다. 학생 인권조례를 공약했던 교육감은 이를 철회했다”고 주장했다.
부산연대는 또 “인권은 정치적 협상 대상이 아니다. 우리 사회의 소수자들 존재는 지워지고, 삶은 위협받고 있다. 다양한 정체성을 가진 사람들이 우리 사회의 다양한 차별을 중첩적으로 겪고 있다. 부산연대는 차별금지법 제정의 필요성을 알리고 실질적인 법 제정을 위해 행동하겠다. 차별금지법이 지향하는 가치에 반대되는 모든 시도에 대항하며 차별과 배제 없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연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철휘 삶장애인자립생활센터 소장은 “장애인 차별금지법이 제정됐지만, 차별의 벽은 사회 곳곳에 여전히 남아 있다. 장애인이 지역사회에서 살아가기 힘들다는 것을 생활 속에서 느낀다. 이런 차별을 없애기 위해서는 사회의 인식과 노력이 필요하다. 포괄적 차별금지법이 제정되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손우영 부산반빈곤센터 사무국장도 “차별금지법은 사회적 불평등에 맞서는 기본법이다. 부산연대의 활동을 통해 우리 사회에 여전히 남아 있는 편견을 없애는 과정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글·사진 김영동 기자
yd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