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오후 대전시민아카데미에서 열린 대전 진보진영 단일화를 위한 교육정책 발표 기자회견장에서 하태욱 대전교육희망 정책위원장, 승광은 후보, 성광진 후보, 박양진 대전교육희망 상임대표(왼쪽부터)가 손을 맞잡고 공약 이행을 다짐하고 있다. 송인걸 기자
대전 진보교육감 후보 단일화 투표가 하루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단일화 대상 후보들이 시민사회단체들이 제시한 교육정책을 반드시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
승광은(63)·성광진(60) 대전시교육감 예비후보들은 ‘대전교육희망 2018’이 9일 오후 대전 서구 둔산동 대전시민아카데미에서 연 ‘민주진보교육감 10대 교육정책 발표’ 기자회견에 참석해 “누가 단일후보가 돼도 10대 교육정책을 실천하겠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대전교육희망 2018’이 제시한 교육정책은 △보편적 교육복지 추구 △교육격차 해소 △안전하고 평화로운 교육환경 확보 △참여하는 민주적 거버넌스 구축 △교육비리 근절 및 학부모 지원 △교육혁신을 위한 교사·교직원 지원 △소통과 협력의 교육 실현 △신나는 학교 만들기 △혁신교육 미래학교 도입 △마을교육공동체 건설 등이다.
10대 정책에는 고교까지 무상급식을 확대하고 유치원·어린이집 확대, 의무교육 기간 공교육에 학부모 부담 없애기 등이 포함됐다. 원도심과 신도심 간 동서 교육격차를 해소하고 교육 소외계층을 지원하는 방안도 구축하며 친환경 학교급식지원센터를 운영하고 생태·환경친화적인 교육을 강화하는 대책도 마련한다. 학교 운영을 민주적으로 제도화하고 교장 공모제도 확대하기로 했다. 시민감시관제, 교육신문고 운영 등 정의롭고 공정한 교육을 바로 세우는 방안을 모색하고 혁신의 주체인 교사들이 교육을 제대로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한편 비정규직 차별을 해소하는 방안도 강구하기로 했다.
이밖에 일제고사를 폐지하는 등 경쟁교육을 지양하고 학생 동아리와 자치기구를 활성하는 한편 학생인권조례를 제정하는 등 민주시민교육을 강화하기로 했다. 보충수업 및 야간학습 자율화, 대전형 혁신학교 설립, 마을교육공동체 지원센터 설립과 민관학이 협력하는 마을교육생태계도 갖추기로 했다.
이런 교육정책을 추진하는데 드는 예산에 대해 두 후보는 “2조원 수준의 대전교육청 예산 가운데 72%가 경직성 경비이다. 10대 정책을 추진하는데 소요되는 예산을 추산해보고 정부의 정책 변화에 따른 추가 예산 확보 가능성 등을 따져 연차사업으로 계획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단일화 후보는 10일 개인회원 모바일 투표를 시작으로 11일 시민여론조사, 12일 개인회원 현장투표를 거쳐 확정된다. 총선거인단은 지난달 23일까지 등록을 마친 시민회원 등 1만6344명이 참가할 예정이다. 반영 비율은 모바일·현장투표 60%, 여론조사 40%이다. 단일후보가 확정되면 13일 정책협약을 하게 된다.
박양진 대전교육희망 2018 상임대표(충남대 교수)는 “10대 교육정책은 대전교육이 지향해야 할 정책 과제를 정리한 것이다. 두 분 가운데 한 분이 단일후보가 되고, 교육감에 당선되면 이 정책들을 어느 정도 달성하는 지가 교육감을 평가하는 잣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