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기념재단과 5·18민주유공자 3단체는 지난 9일 5·18기념재단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서주석 차관의 현명한 결단을 촉구했다. 5·18기념재단 제공
서주석 국방부 차관이 1988년 국회 5·18민주화운동 청문회를 앞두고 5·18민주화운동 왜곡 논리를 제공한 511연구위원회에 참여했다는 내용과 관련해 그의 사퇴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확산되고 있다.
5·18민주유공자 40여 명은 10일 오전 서울 용산구 국방부 앞으로 찾아가 서 차관의 사퇴를 촉구했다. 이들은 “서 차관이 511위원회 위원으로 5·18민주화운동의 진실을 왜곡하는데 참여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511연구위원회는 1988~89년 국회 5·18광주민주화운동진상조사특별위원회를 앞두고 보안사령부(현 기무사령부) 주도로 국방부, 합동참모본부, 육군본부, 한국국방연구원(KIDA)이 꾸린 기구다.
5·18기념재단과 5·18민주유공자 3단체도 지난 9일 “5·18 왜곡조직 참여 및 활동 당사자로서, 또 진상규명의 주무부처인 국방부 차관으로서 그에 대한 책임은 부인하기 어려우며, 본인의 현명한 결단을 촉구한다”고 지적했다. 5월단체는 “서 차관이 발포명령자를 부정하고, 계엄군의 자위권 행사를 정당화 하는 등의 5?18 왜곡 조직에 참여한 것은 큰 오점이며, 본인이 어떤 역할을 했든 그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지적했다. 앞서 광주시민단체협의회 등 4개 단체도 지난 4일 서 차관의 사퇴를 요구한 바 있다.
서 차관이 두차례나 광주를 찾아 사과했는데도 광주에서 사퇴 요구가 가라앉지 않는 것은 서 차관이 5·18진상규명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한 5·18연구자는 “5·18을 왜곡한 511연구위원회에서 일했던 서 차관이 5·18특별법에 따라 구성될 진상규명위원회의 활동과 관련있는 중요한 자리에 있는 것은 사리에 맞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국방부 쪽은 “서 차관이 511연구위원회의 보고서 작성을 주도한 것은 아니며, 5·18단체에게도 두차례 걸쳐 이런 내용을 해명하고 사과했다”며 “5·18특별법 후속조치 이행과 성실한 조사 협조를 통해 진상규명에 진력하겠다”고 밝혔다.
정대하 기자
daeh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