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고양시 진보정당 관계자들이 15일 고양시의회에서 6·13지방선거 공동정책 발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민중당 제공
민중당, 노동당, 녹색당 등 경기도 고양시의 진보정당들이 진보적 가치가 구현되는 고양시를 위해 공동으로 노력해가기로 합의하고, 소수정당의 지방의회 진출을 위해 더불어민주당과 시민단체에 함께 노력해줄 것을 촉구했다.
민중당 등 진보 3당은 16일 고양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노동의 가치가 존중받는 도시 △환경이 살아 숨쉬는 생태 도시 △평화와 인권의 도시 등 6·13지방선거 공동정책을 밝혔다. 진보정당들은 특히 최근 논란을 빚고 있는 산황동 골프장 증설 백지화를 비롯해 김포~관산 도로 고양시 구간 재검토, 금정굴 희생자 유해안치와 평화 박물관 건립, 공공기관·지방공기업에 청년 의무고용제 5% 실현 등을 약속했다.
최영희 민중당 고양시위원회 부위원장은 “촛불혁명 이후 첫 선거에서 노동자·농민·청년·여성이 주인으로 세상을 열어가도록 진보정당이 힘을 합쳐야 한다”고 말했다. 박정아 고양녹색당 운영위원장은 “민주당이 오랫동안 고양시정을 장악해왔으나 시민들의 삶은 나아지지 못했다. 기존 양당 구조가 아닌 다양한 정당이 시의회에 들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지방선거를 앞두고 고양 시민들이 제안하는 정책도 봇물처럼 터져나오고 있다. 이재준 더불어민주당 고양시장 후보가 고양시민의 다양한 의견을 공약에 반영하기 위해 지난 11일부터 시민들에게 받기 시작한 ‘백지공약 시민 제안’이 5일 만에 700여 건이 접수된 것으로 알려졌다. 고양시민들은 ‘백지공약’을 통해 △대곡역세권 기업 유치 △광역교통환경 개선 △양질의 일자리정책 △공직인사 혁신과 소통행정 △도시재생과 균형발전 △아파트 리모델링 등 주거환경 개선과 도시재생 △미세먼지 등 환경대책 △노인·장애인 복지 확대 등을 제안했다.
이 후보는 “법·행정적으로 현실적인 제안들을 선별하는 중이며, 검토를 마치는대로 추진할 예정”이라며 “갈등조정 전문가를 도입하는 등 향후 시의 공공정책 추진과 관련한 민원과 갈등을 원만히 해결하기 위한 방안도 깊이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문가그룹의 정책 제안도 이어지고 있다. 책·도서관 전문가그룹인 ‘고양시 책·도서관·문화 정책포럼’은 열악한 고양시의 책·도서관 정책 혁신을 요구하는 정책공약을 6·13지방선거 입후보자들에게 제안했다.
이 단체는 “인구 100만명의 대도시가 된 고양시의 공공도서관 수는 수원시에 이어 경기도에서 두번째로 많지만 책 관련 인프라는 최하위권에 머물러 있다. 이는 고양시민이 기본적인 문화복지 혜택조차 제대로 누리지 못하는 문화적 후진도시임을 뜻한다”고 밝혔다. 이 단체가 발표한 자료를 보면, 2016년말 기준 고양시의 공공도서관 수는 17개로 도서관 등록회원 수가 50만명이 넘지만, 1인당 연간 도서구입비는 1500원, 1인당 장서량은 1.9권, 1관당 사서는 2.7명에 불과하다.
이 단체는 최근 시민토론회를 거쳐, 시 예산의 1% 이상을 ‘독서진흥 및 도서관 자료 구입비’로 확보할 것과 ‘독서문화 진흥 조례’ 제정, 시청에 ‘독서·도서관정책과’ 설치 등을 요구했다. 올해 고양시 도서관센터의 도서관 자료 구입비와 독서진흥 예산은 약 24억원으로 전체 예산의 0.15%에 그쳤다.
백원근 책과사회연구소 대표는 “책을 읽을 수 있는 환경 조성은 시민의 기본권인데, 지방행정의 우선 순위에서 항상 밀린다. 전국의 지방선거 후보들이 주요 공약으로 제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