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스트 캠퍼스의 대기 시료 채취 장비 유니스트 제공
울산은 계절에 상관없이 연중 미세먼지에 함유된 독성물질의 영향을 받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유니스트(울산과학기술원)은 30일 도시환경공학부 최성득 교수팀이 유니스트 캠퍼스에서 채취한 대기 시료로 미세먼지에 함유된 대표적 인체 독성물질인 ‘다환방향족 탄화수소’(PAHs) 농도와 비율을 분석했더니 울산은 미세먼지가 가장 적은 여름에도 대기 중 PAHs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환경오염 모니터링 분야 최상위급 국제 학술지인 <환경오염>(Environmental Pollution) 5월호에 발표됐다.
연구결과를 보면, 울산지역은 겨울(1~2월)과 봄(3~5월)에 전체 미세먼지 양과 함께 PAHs 농도와 비율 모두 증가했다. 여름(6~8월)이 되면서 전체 미세먼지 양은 줄었지만 PAHs 농도는 그만큼 줄지 않았다. 이는 여름에 중국에서 발생해 우리나라로 이동하는 미세먼지는 줄어들어도 국가산업단지와 주요 도로에서 배출된 오염물질이 해풍을 타고 내륙으로 이동하면서 PAHs 농도가 일정 수준으로 유지됐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최성득 유니스트 도시환경공학부 교수 유니스트 제공
최 교수는 “고농도 미세먼지 기간이 아니더라도 울산은 연중 독성물질을 함유한 미세먼지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산업단지에서 배출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광화학반응을 거쳐 미세먼지로 생성되는 양을 무시할 수 없다. 중국이나 인근 대도시에서 유입되는 대기오염물질을 탓하기 전에 울산시 자체적으로 오염물질 배출을 관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아직 우리나라는 질량을 기준으로 한 미세먼지 총 농도에 집중하고 있다. 하지만 전체 미세먼지 농도가 낮아도 그 안에 어떤 독성물질이 있느냐에 따라 인체 위해도가 달라지므로 미세먼지 성분을 분석하는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성분분석 결과에 따라 차량 대기배출이나 산업체 석탄 또는 석유 사용량 규제, 중국 등 인접 국가의 협조 요청 등의 대책 수립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선박 연료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 상당량도 해풍을 통해 울산 시내로 유입될 것으로 추정된다. 산업단지와 항만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와 발암물질에 대한 기초 연구를 본격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신동명 기자
tms13@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