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춘희 더불어민주당 세종시장 후보. 이춘희 후보 선거캠프 제공
이춘희 더불어민주당 세종시장 후보는 <한겨레>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세종시의 최대 관심사인 행정수도 개헌 무산에 대해 자유한국당 등 야당의 책임을 이야기했다. 이 후보는 “대통령 개헌안에 수도 조항 신설이 제시됐다. 더불어민주당도 행정수도 개헌을 당론으로 정했다. 하지만 자유한국당과 일부 야당은 대통령 선거 때의 약속을 깨고 지방선거 개헌을 좌초시켰다”고 비판했다. 실제로 한국당은 지난 대선에서 약속한 6월 개헌을 반대해 무산시켰고, 자체 개헌안에서는 ‘대한민국의 수도는 서울특별시’라는 조항을 넣기도 했다.
이 후보는 이번 지방선거가 끝나는 데로 다시 행정수도 조항을 포함한 개헌에 온 힘을 쏟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차기 총선 때 개헌을 하자는 주장도 있지만, 올해 내 재점화 해야 한다. 선거 직후 문재인 대통령, 이해찬 국회의원, 민주당과 함께 행정수도 개헌 논의의 불씨를 되살리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이어 “여야 합의를 통한 개헌을 추진하고, 후속 조처로 행정수도 특별법을 제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세종시에 국회와 대통령 집무실 설치하고 감사원과 여성가족부 등도 추가로 이전해야 한다고 말했다. 나아가 국제기구 유치에도 나서겠다고 밝혔다.
행정수도 건설 외에 이 후보가 내세운 공약은 ‘시민 참여’가 바탕이다. 그는 시민 스스로 시정에 참여해 결정하고, 직접 실천하는 ‘시민주권 특별자치시’를 만들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 후보는 “참여와 자치는 세종시의 정체성이자 독특한 문화다. 이것이 세종시민이 일상에서 경험하는 생활 양식, 세종시의 라이프스타일이 되면 좋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그는 마을 조직, 재정, 입법, 계획 등 4개 분야 10개 주민자치 시민권리 선언을 발표했다.
세종시의 당면 현안으로는 △행정수도 개헌과 행정수도 특별법 제정 △지속가능한 경제적 기반 조성 △아이 키우기 좋은 안전한 도시 조성 등을 꼽았다. 이 후보는 “무상급식처럼 보육·교육 문제를 걱정하지 않을 수 있는 사회책임 도시, 일과 가정이 양립하는 도시, 아동과 여성이 행복한 안전 도시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행정고시 출신으로 2008년 건설교통부 차관으로 공직 생활을 은퇴했다. 그러나 신행정수도건설추진지원단 부단장과 첫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등을 맡아 ‘세종시의 설계자’로 불린다. 2012년 초대 세종시장 선거에 출마했다가 낙선의 고배를 마신 뒤 2014년에 치러진 선거에서 2대 세종시장에 당선됐다. 박수혁 기자
ps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