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보안법 혐의로 유죄 선고를 받았지만 차별받고 소외된 마을과 주민을 대변하는 생활정치를 펼치라고 3선까지 만들어줬다고 생각합니다.”
민중당 안소희(39) 파주시의원은 보수성향이 강한 남북 접경지역인 경기도 파주에서 진보정당 여성후보로 3선을 기록했다. 3일 파주시의회에서 만난 안 의원은 “주민의 직접정치를 위해 마을공동체와 민주시민교육 등 주민과 마을의 힘을 키우는 일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안 의원은 파주시의회 유일한 3선의원이지만 양당구조속 진보정치인이라는 위치엔 변함이 없다. 그는 “민주적이고 상식이 통하는 파주시와 의회가 되도록 적폐를 견제하고 기득권 나누기식 구태정치를 단호하게 비판하겠다”는 각오다. 파주시의회는 더불어민주당 8석, 자유한국당 5석, 민중당이 1석으로 꾸려졌다.
안 의원은 또 “남북협력시대를 맞아 파주시민의 권리와 영향력이 더 확대되도록 시민들과 함께 남북교류협력과 평화통일실현사업에 적극 나서겠다. 파주시에 남북교류협력 전담부서 신설과 남북교류협력기금 운용 확대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3선 시의원이 되기까지 우여곡절도 많았다. 한신대 4학년때 학내민주화 운동으로 제적된 그는 미군훈련장 확장반대운동을 하다 민주노동당 청년후보로 2008년 파주에서 총선에 출마해 낙선했다. 2010년 민주노동당 소속으로 파주시 사상 첫 여성 시의원에 당선된 뒤 2014년 통합진보당 후보로 재선에 성공했으나 정당이 해산돼 무소속으로 지내다 올해 초 민중당에 입당했다. 통진당 수사 과정에서 그도 국정원으로부터 자택과 사무실을 압수수색당하는 수모를 겪었다. 국정원은 그의 남편인 이영춘 민주노총 고양·파주지부장 수색에 이어 안 의원까지 한 달 새 두번이나 집을 샅샅이 뒤졌다. 결국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기소돼 4년여 만인 지난해 11월, 1심 재판에서 정당 행사에서 ‘혁명동지가’를 불렀다는 이유로 국가보안법 위반(찬양·고무 등) 혐의로 징역 2년6개월에 집행유예 3년을 선고 받았다.
항소심에서 ‘무죄’를 확신한다는 안 의원은 “행사장에서 함께 노래를 불렀다는 이유만으로 재판정에 서야 했다. 민족화해와 평화시대에 이미 명분을 잃은 국가보안법이 통합진보당 사건을 마지막으로 폐지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8년간 의정활동을 하면서 조례 36건, 행정감사 495건을 처리하며 소외 주민을 위해 꾸준히 일해온 그를 파주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은 6·13지방선거의 ‘좋은 후보’로 꼽았다.
글·사진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