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가 복지건강국을 인구복지국으로 명칭을 변경하려던 계획을 철회했다.
19일 광주시 쪽의 말을 종합하면, 시 조직개편안에 복지건강국이라는 명칭이 살아났다. 지난 4일 4실6국3본부62과 체제안으로 개편한다는 방침을 발표하면서 복지건강국을 인구복지국 개명하겠다고 했던 방안을 철회한 셈이다. 시는 복지건강국 산하 건강정책과가 6개 팀을 관장하는 현행 체제를 당분간 유지하기로 한 셈이다. 시의회는 조직개편안을 20일 행정자치위원회 심의를 거쳐 23일 본회의에 상정한다.
시가 복지건강국 개명을 철회한 것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가 나온다. 시가 복지건강국을 인구복지국으로 개명해 ‘건강·보건’이라는 용어가 사라진다는 소식이 전해진 뒤, “지방정부 차원의 보건·건강 정책 대안을 마련하는 것에 소홀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기 때문이다. 이는 부산은 현재 복지부서와 분리했고, 경기와 인천은 보건업무 관련 과를 2개 이상 두고 있는 추세와도 어긋나는 것이다. 광주지역 의료인들이 꾸린 광주건강포럼은 “광주시 차원에서 건강정책의 수립과 집행을 담당하고 건강정책 전반에 대해 자문하는 건강정책관 등의 상위 직제가 신설돼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광주시가 앞으로 올 연말에 2차 조직 개편이 있을 경우 인구복지국으로 부서 명칭을 바꾸는 방안을 재론할 가능성도 있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일자리 창출 등을 통해 인구 200만 광주 르네상스 시대를 열겠다’고 공약해 ‘인구 늘리기’에 관심이 크기 때문이다. 시 정책기획관실 관계자는 “광주에서 밖으로 빠져 나가는 인구 유출이 심해져 관련 국 명칭에 ‘인구’를 넣어 강조하려고 했지만, 일단 현행 체제를 유지할 것이다. 다만 향후 연말 조직 개편 때 개명할지 여부는 아직 정해진 바가 없다”고 말했다. 정대하 기자
daeh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