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의회가 정부에 대학 기본역량 진단평가 방식 개선을 요구했다.
도의회는 20일 열린 본회의에서 심상화·곽도영 도의원이 발의한 ‘2018년도 대학 기본역량 진단 정책개선 촉구 건의안’을 채택했다.
도의회는 건의안을 통해 “질 높은 지역대학의 육성에는 공감하지만 유독 도내 대학이 자율개선대학에 상대적으로 적게 선정됐다. 이는 대학과 지역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은 일방적 평가로 지역 균형발전에 역행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또 “지역교육의 근간을 흔든 이번 평가결과는 균형 있고 평등한 교육 실현이라는 기본 인권을 침해할 우려가 있고, 지역 간 차별과 갈등을 불러와 지역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지적했다.
도의회는 ‘강원도 홀대’가 교육 분야까지 퍼진 것이라고 보고 지역대학 살리기에 나섰다. 최근 발표된 대학 기본역량 진단평가에서 강원도내 4년제·전문대 16곳 가운데 11개교(전문대 6개교 포함)가 2단계 평가 대상에 포함돼 정원감축과 재정지원 제한 위기에 직면했다. 이는 평가 대상 16곳 가운데 5곳(31%)만 예비 자율개선대학에 선정된 것으로 전국 평균(64%)에 견줘 한참 낮다.
심상화 강원도의원은 “이번 평가결과는 지역 홀대와 차별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증거다. 다음 달 최종 결과를 발표할 때는 지역 균형을 고려해 도내 대학을 자율개선대학에 최우선 선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수혁 기자
ps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