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구 녹색교통지역 동대문디자인플라자 인근 조감도. 서울시 제공
내년 하반기부터 서울 도심 4대문안 ‘녹색교통진흥지역’에서 오염물질 배출량이 많은 공해 차량의 진입이 금지된다.
서울시는 한양도성으로 둘러싸인 ‘녹색교통진흥지역’에서 자동차 진입을 억제하고 보행자과 자전거 이용자 공간을 넓히는 방안을 담은 ‘한양도성 녹색교통진흥지역 특별종합대책’이 지난 6일 국토교통부 고시를 통해 최종 확정됐다고 7일 밝혔다. 이 대책은 서울시와 국토교통부가 녹색교통지역으로 지정한 한양도성 안 16.7㎢에 적용된다.
이에 따라 내년 하반기부터 녹색교통지역에 교통량을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자동차통행관리시스템을 구축해 41개 지점에서 진입이 금지된 차량을 단속한다. 서울시는 환경부의 친환경 등급제와 연계해 탄소를 많이 배출하는 차량의 운행을 통제할 방침이다. 대상 차량은 친환경 등급상 최하인 2002년 7월 이전 인증된 경유 차량, 1987년 이전 인증된 휘발유 차량이 될 것으로 보인다. 대상 차량과 시간 등은 시민 의견을 반영해 추후 발표된다.
녹색교통지역으로 지정된 서울 한양도성 내부(빨간색 점선 부분)16.7㎢ 구간. 서울시 제공
보행자와 자전거 이용자가 편리하고 안전하게 다닐 수 있게 도로 공간을 개선하는 작업도 함께 진행된다. 서울시는 보행량이 많은 서울 종로구와 중구의 세종대로, 퇴계로, 을지로 등지에서 내년부터 순차적으로 보행로와 자전거 도로를 늘린다. 이를 통해 녹색교통지역 안에서 버스전용도로가 있는 경우엔 왕복 6차로, 없는 경우엔 왕복 4차로로 줄일 계획이다. 또 종로~청계천~한강을 잇는 자전거 전용도로를 만들어 녹색교통지역 안에서 자전거 이용을 더욱 활성화할 계획이다.
녹색교통지역 안에서 친환경 차량도 도입된다. 서울시는 올 11월부터 전기버스 10대를 우선 도입하고, 2020년까지 서울시 공유차인 나눔카를 100% 전기차로 전환한다.
서울시는 이번 정책을 통해 2030년까지 승용차 교통량을 2017년보다 30% 감축하고 보행자, 자전거, 대중교통 공간을 2배 이상 늘릴 계획이다.
김미향 기자
arom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