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 서울 송파구 한 상가의 부동산 업소. 백소아 기자 thanks@hani.co.kr
서울에 사는 외국인들이 집을 구할 때 도움을 주기 위해 서울시가 ‘글로벌 부동산 중개사무소’ 258곳을 운영한다.
서울시는 외국인 주거 편의를 위해 이런 중개사무소를 223곳에서 258곳으로 확대 운영한다고 17일 밝혔다. 올해 35곳이 추가 지정된 것이다.
글로벌 부동산 중개사무소로 지정된 곳은 외국어로 번역된 부동산 매매·임대 계약서를 비치하고, 외국인이 부동산 거래신고나 토지 취득신고를 할 때 각종 편의가 제공되며 거주민들과 어렵지 않게 소통할 수 있는 기반이 구축돼있다.
이런 중개사무소는 서울에서 2008년 20곳을 처음 도입해 운영해왔는데, 해마다 지정 업소를 늘려 서울에 사는 27만3천여명(2018년 상반기 기준)의 외국인에게 주거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용산구 67곳, 강남구 30곳, 서초구 27곳, 마포구 16곳 등 외국인이 많이 사는 곳에 집중돼 있다. 업소 258곳 가운데에는 영어에 특화된 업소가 193곳으로 가장 많고, 일본어 44곳, 영어·일어 9곳, 중국어 5곳 등이다.
글로벌 부동산 중개업소임을 알리는 표식. 서울시 제공
서울시는 앞으로 영어·일어·중국어 뿐만 아니라 다른 언어권에서 온 외국인을 위한 글로벌 부동산 중개사무소를 늘릴 계획이다. 현재 글로벌 부동산 중개사무소 지정 심사 때 서울시는 베트남어, 몽골어, 러시아어 등 비영어권 언어 사용자를 우대하고 있다.
공인중개사가 자신의 사무소를 서울시 글로벌 부동산 중개사무소로 지정받으려면 자치구 신청을 통해 서울시 심사를 받으면 된다. 자격은 부동산 중개업을 1년 이상 해온 공인중개사가 최근 1년 사이에 영업 중 공인중개사법에 저촉된 적이 없고, 언어 심사에서 적합 판정을 받으면 지정 심사를 통과할 수 있다.
김미향 기자
arom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