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부산 연제구 부산시청 앞 광장에서 부산지하철 노조가 부산교통공사 경영진 인사의 공공성 강화를 촉구하는 결의대회를 열고 있다.
부산지하철 노조가 부산시 등에 도시철도를 운영하는 부산교통공사 경영진 인사의 공공성 강화를 촉구하고 나섰다.
노조는 10일 부산시청 앞 광장에서 ‘부산지하철 안전·공공성 강화’ 간부결의대회를 열어 “도시철도 안전과 공공성 확보를 위해 사장 등 공사 경영진 선출 과정에서 근본적 혁신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부산교통공사는 지방공기업에 따라 임원추천위원회를 만들어 19일까지 사장, 건설본부장, 상임감사 공모를 비공개로 진행하고 있다.
노조는 결의대회에서 ‘지하철 경영진 구성 관련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설문조사는 3~7일 조합원 3177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응답률은 44.6%였다. 노조의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역대 경영진 구성 절차가 공정한가’라는 질문에 49.8%가 ‘아니다’, 42.3%가 ‘매우 아니다’라고 답했다.
역대 공사 경영진 선임 기준에 대한 질문에는 응답자의 88.3%가 ‘정치적 이해관계’라고 답했다. 공사 역대 경영진이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낙하산으로 임명됐다는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음 경영진 구성 때 직원 의사가 반영돼야 한다는 답변이 89%로 나타났다. 노조는 내부 직원 등이 참가하는 경영진 구성 절차 필요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노조의 한 관계자는 “지금까지 공사 경영진 임명은 관련 법에 따라 부산시와 시의회가 결정해 선임했다. 도시철도 이용자 대표는 바로 시민이다. 시민과 노조가 공사 경영진 선임 과정에 참여해 검증할 수 있는 제도나 절차를 만들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부산/글·사진 김영동 기자
yd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