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소음 등의 이유로 군사공항과 민간공항을 함께 사용하는 대구공항을 경북 군위군 우보면 등지로 이전하는 작업을 추진 중이나 시민들의 반발이 만만찮다. 대구시 제공
대구시가 동구에 자리 잡은 군사공항인 케이투와 민간공항을 한데 묶어 시 외곽지로 이전하는 계획을 추진 중이다. 하지만 시민들의 반대가 만만찮아 계획대로 추진될지는 의문이다.
대구시는 10일 “현 대구공항은 군사공항과 민간공항을 함께 사용하는 탓에 항공기 소음과 개발제한 등 지역주민들의 피해가 작지 않다. 인근 외곽지로 이전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대구 통합 신공항 건설은 2016년 7월 당시 박근혜 대통령이 통합이전을 발표하면서 시작됐다. 이후 국방부가 경북 군위군 우보면과 의성군 비안면·군위군 소보면 등 2곳을 후보지로 확정해 발표했다.
대구시는 “동구 지역에 사는 시민들의 소음피해 때문에 이전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또 현재 대구공항을 이전한 뒤 공항터 688만㎡를 개발하는데 상당한 기대를 걸고 있다.
하지만 도심에서 가까운 거리에 공항이 있어 편리하게 이용해온 대구시민들의 반대가 만만찮다. 시민들은 “택시 타고 20∼30분이면 충분히 공항에 도착한다. 하지만 공항을 외곽지로 이전하면 최소한 1∼2시간 걸리지 않겠느냐”며 반대하고 있다.
대구시의회가 공항이전을 돕기 위해 결성한 ‘통합 신공항 건설 특별위원회’는 더불어민주당이 반대하는 바람에 자유한국당 시의원만으로 구성했다. 대구시의원 30명 중 민주당 소속은 5명이다. 강민구 민주당 시의원은 “대구공항은 한 해 이용시민이 400만명을 넘어설 만큼 성장이 빠르다. 여러 이유가 있지만 동대구역에서 2.5㎞ 떨어져 있는 등 도심에서 가깝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공항이전은 100년을 내다보고 결정해야 한다. 신중해야 하고 전문가와 시민들의 공론화장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대구지역 시민단체들이 시민 1000명을 상대로 여론조사를 했더니, 56%가 ‘군사공항만 옮겨야 한다’고 했고, 23%만 ‘군사공항과 민간공항을 통합이전’하는 데 찬성했다.
지난 6월 지방선거 때는 통합공항 이전이 선거 쟁점으로 떠올랐다. 대구시장선거에 출마한 한국당 예비후보들 가운데 권영진 시장을 제외한 이진훈(61·전 수성구청장), 이재만(59·전 동구청장), 김재수(61·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등 3명이 모두 공항이전에 반대했다.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시장선거에 출마한 임대윤(61·전 동구청장) 후보도 반대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들은 “대구공항을 대구에서 멀리 떨어진 경북 외곽지로 이전하면 시민들은 인천공항과 김해공항을 찾을 수밖에 없다. 이전한 공항이 자칫하면 동네 공항으로 전락할 수 있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구대선 기자
sunny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