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건설노동조합이 11일 오전 강원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평창올림픽조직위원회에 노동자 임금 체불 등을 해결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추석을 앞두고 2018평창겨울올림픽 시설물 공사에 참여했던 노동자들이 임금 체불 등의 문제를 해결하라고 요구하고 나섰다.
강원건설노동조합은 11일 오전 강원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평창올림픽조직위원회에 “강릉역 차고지·환승주차장 조성 공사와 관련해 체불된 임금 3억원을 지급하라”고 촉구했다.
강릉역 차고지·환승주차장 조성 공사는 지난해 5월부터 올림픽 직전인 12월까지 진행됐다. 하지만 공사에 참여했던 노동자들은 건설장비 임대료와 인건비 등 3억원을 받지 못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오희택 강원건설노동조합 사무처장은 “화려한 올림픽 잔치가 끝난 뒤 건설 노동자의 절규만이 허공에 메아리치고 있다. 평창올림픽이 끝난 뒤 6개월이 지났지만 체불 임금 문제가 도처에서 터져 나오고 있다”고 주장했다.
노조가 이날 공개한 올림픽 관련 체불 임금은 100억원 규모로 관련된 노동자만 1000여명이 넘는다. 경기장 임시관람석 설치 공사 80억원과 컨테이너 철거와 운송 12억원, 임대 버스 5억원, 강릉역 차고지 조성 3억원 등이다.
김태희 강원건설노동조합 수석부위원장은 “건설 현장의 체불은 발주처인 조직위의 명백한 직무 유기다. 조직위가 체불 문제를 즉각 해결하지 않는다면 무기한 천막 농성에 돌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평창겨울올림픽조직위원회는 올림픽이 끝난 뒤 임금 체불 등의 문제가 있지만 4개 사업에 25억원 규모로 노조의 주장은 과장됐다고 반박했다. 경기장 임시관람석 설치 공사 12억원과 컨테이너 철거와 운송 7억원, 임대 버스 5억원, 강릉역 차고지 조성 1억원 등이라는 것이다.
평창겨울올림픽조직위원회 관계자는 “임금 체불 문제 상당수가 하청 업체에서 발생했다. 조직위는 하청업체에 공사 대금을 직접 지불할 의무가 없지만 하도급 업체의 어려움을 빨리 해결하기 위해 체불 임금 지급상황 등을 집중적으로 관리해 가능한 추석 이전에 모두 해결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글·사진 박수혁 기자
ps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