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도심의 차량 제한속도를 시속 60㎞에서 50㎞로 낮춰도 통행시간에는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시는 부산경찰청, 한국교통안전공단 부산본부와 함께 도심 제한속도 하향에 따른 주행시간 영향을 분석한 결과, 15㎞ 구간의 평균 통행 시간이 기존보다 2~4분 정도 더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지난 6일 사하구 하단, 금정구 노포, 북구 덕천 쪽의 3개 노선 각각 14~16㎞ 구간에서 4차례씩 시속 50㎞와 60㎞로 왕복하면서 주행 시간 차이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시는 조사 신뢰도를 높이려고 택시업계 관계자와 시민, 취재기자 등 참관인 6명을 조사 차량에 나눠 태우고 실증 과정을 지켜보게 했다.
조사 결과를 보면 1구간을 시속 50㎞로 주행했을 때 44분30초, 60㎞에선 42분59초가 걸렸다. 2구간에서도 시속 50㎞ 때 43분21초, 60㎞에선 39분42초가 소요됐다. 3구간에서도 시속 50㎞ 때 31분17초, 60㎞에서 29분5초였다. 시는 “차량이 시속 60㎞로 주행할 때 급정거가 잦았고, 교통 신호에 자주 걸렸다. 시속 50㎞로 낮춰 운행하면 60㎞ 주행 때와 비교할 때 통행시간은 큰 차이가 없지만 교통사고 위험은 크게 낮아졌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캐나다 위니펙시 경찰이 차량 속도별 제동 거리를 실험했는데, 시속 60㎞로 달리던 차량의 제동 거리는 27m였고, 시속 50㎞에서는 제동 거리가 18m였다. 지난 4월 한국교통안전공단의 차량 속도에 따른 보행자 중상 가능성 실험 결과에서도 시속 50㎞에서 보행자 중상 가능성이 72.7%였고, 시속 60㎞에선 92.6%로 조사됐다. 아일랜드의 속도 지침에는 시속 50㎞로 주행 중인 차와 보행자가 충돌할 때 사망 가능성이 55%, 시속 60㎞에선 사망 가능성이 85%로 나와 있다. 차량 속도를 시속 10㎞만 줄여도 교통사고 때 보행자 생존 가능성이 훨씬 더 커진다.
부산시 관계자는 “도심 제한속도 하향 정책은 교통사고 발생을 낮추고, 사고가 났을 때 보행자 등이 중상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심 제한속도를 낮추더라도 정체 등 악영향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 시민의 안전을 위해 앞으로 제한속도를 낮춰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영동 기자
yd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