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8월 일제강제동원역사관 7층 옥상에서 일제에 의해 강제 동원됐다가 숨진 희생자들을 기리는 추모탑 제막을 하고 있다. 일제강제동원역사관 제공
일제에 강제로 끌려가 숨진 희생자를 기리는 전국 합동 위령제가 부산에서 열린다.
행정안전부 산하 일제 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은 “18일 오후 2시께 부산 남구 대연동에 있는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 추모공원에서 일제 강제동원 희생자 합동 위령제는 연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위령제에는 희생자 유족과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 지자체 관계자 등 500여명이 참석한다. 위령제는 종교별 의례, 경과 보고, 추도사, 분향, 헌화 순서로 진행된다. 역사관 6층 기획전시실에는 강제 동원 실상을 알리는 기획전인 ‘돌아와요 부산항에’가 열린다.
일제 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은 희생자와 피해자 유족 지원사업을 확대할 방침이다. 재단 관계자는 “재단법 입법을 통해 출연금 확충과 지원사업 확대에 힘쓰겠다. 내년에는 유족의 숙원사업인 강제동원희생자 위패관 조성사업 등 성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는 23만여명으로 추정된다. 일본과 사할린,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탄광, 광산, 군부대 등지에서 강제로 노역하다가 숨져 귀국하지 못한 희생자는 2만여명, 부상자는 3만3000여명에 이른다. 국무총리실 소속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 강제동원 희생자 등 지원위원회’는 2015년 이곳에 일제강제동원역사관을 개관했다. 역사관에는 강제동원 관련 문서와 명부, 사진, 영상물, 전시 모형 등이 있다.
부산/김영동 기자
yd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