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물 정책 분야 자문기구 ‘부산맑은물범시민대책위원회’ 창립총회 알림 글. 부산맑은물범시민대책위원회 제공
낙동강 수질 오염 문제 해결과 청정상수원 확보를 위해 부산 시민단체들이 힘을 모았다.
먹는물부산시민네트워크 등 108개 부산 시민단체는 18일 오후 2시 부산시청에서 부산시 물 정책 분야 자문기구인 ‘부산 맑은물 범시민대책위원회’ 창립총회를 열었다. 부산시는 “올해 말 환경부의 낙동강 청정상수원 대책 발표에 앞서 시와 시민사회가 힘을 합쳐야 한다는 공감대가 만들어져 위원회를 꾸렸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학계 전문가와 시민단체 관계자 등 20여명으로 구성되는데, 초대 위원장은 최소남 ‘먹는물 부산시민 네트워크’ 상임대표가 맡았다. 위원회는 먹는 물 관련 정책 방향 제시, 구체적 전략 개발을 제시한다. 청정상수원 문제를 놓고 경남과 대구·경북 등과 이해관계를 조율하는 역할이다. 사실상 위원회 결정이 정책으로 채택되는 구조다.
위원회는 창립총회에서 부산 시민의 상수원인 낙동강의 보 개방, 상수원 오염 관리 강화, 불법 축사 행정대집행, 분뇨처리시설 단속 강화 등을 촉구했다. 낙동강 근처 산업단지 배출목록의 정확한 자료 모음집 구축 등도 요구했다. 또 낙동강 특별법 및 물이용부담금 제도개선, 노후주택 수도꼭지 수지 개선, 물 재활용 비율 확대, 가축분뇨 처리방안 등 정책제안도 내놓았다.
위원회는 창립선언문에서 “맑은 물 공급이라는 부산 시정의 혁신과제를 실현하기 위해 부산시와 공동의 목표·비전 공유, 신뢰와 소통 구축, 공동실행·공동책임을 다하겠다. 시민의 단순한 참여를 넘어 주체로서, 환경부와 부산시 등과 함께 손잡고 부산 시민의 30년 숙원인 맑은 물 공급을 실현할 것”고 밝혔다.
부산/김영동 기자
yd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