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2022년까지 해마다 5개 노선씩 확대 방침
이달안 시군, 업체 대상 수요조사뒤 노선 확정키로
이달안 시군, 업체 대상 수요조사뒤 노선 확정키로
경기도가 2006년부터 시행해온 ‘경기 심야버스’를 올해 안에 기존 63개 노선에서 68개로 5개 노선을 확대한다고 18일 밝혔다.
경기 심야버스는 늦은 밤 시민의 교통편의를 위해 출발기점 기준 밤 11시 이후 운행하는 버스로 수원, 성남, 고양, 의정부, 포천 등 도내 15개 시·군에서 서울역과 강남역, 청량리, 여의도 등 서울 주요 도심을 연결하고 있다. 현재 24개 업체에서 총 63개 노선을 운행 중이다.
경기도는 이달 안에 시·군과 버스업체를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한 뒤, 막차 운송수익률과 이용객 수 등을 바탕으로 최종 운행노선을 확정할 방침이다.
선정 기준은 △오후 11시 이후 첫차 운행 전까지 2개 시·도(시·군) 이상을 운행하는 시내버스(광역급행버스 제외) △표준운송원가 대비 막차 교통카드 수익금 비율이 30% 이상인 노선 △환승거점 및 막차이용수요(혼잡률) 등이다.
최종 선정된 노선은 심야 운행에 따른 운행결손금의 50%를 도비로 지원한다. 특히 오전 3시 이후에도 운행하는 노선은 첫차 운행 전까지 운행결손금의 80%를 지원한다. 경기도는 5개 노선 확대로 13억원의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보고 있으며, 다음 달부터 심야버스 신규노선에 대한 지원을 시작할 예정이다.
경기도는 민선 7기 공약사업으로 2022년까지 해마다 5개 노선씩 심야버스를 확대해 2022년 말에는 최대 85개 노선의 심야버스를 운행할 계획이다. 이영종 경기도 버스정책과장은 “경기 심야버스는 수도권 생활권 확대와 생활패턴 다변화에 따라 증가하는 심야 이동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교통수단이다. 저렴하고 안전해 시민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