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경기지사는 4일 취임 100일을 앞두고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경기도 제공
취임 100일을 앞둔 이재명 경기지사는 “부동산 불로소득이 대한민국의 생사가 걸린 문제가 되었다”며 정부가 국토보유세 도입에 적극적으로 나서줄 것을 거듭 요구했다. 이 지사는 그러나 “(정부의)정책 결정권자들이 부동산 하면 (받는) 느낌이 두려워한다(는 것이다). 공적 통제를 가하는 거에 대해서 너무 부담스러워한다”며 소극적 자세를 비판했다.
이 지사는 4일 기자간담회를 열어 재임 100일 중 가장 큰 성과가 무엇이냐는 질문에 “부동산 불로소득에 관한 이야기를 (사회적) 화두로 만든 것과 (경기도에서 아파트) 분양가를 공개한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지사는 “요즘에는 (자라나는 어린이들에게) 꿈이 뭐예요? 라고 하면 건물주라고 한다. (빠듯한) 생활비에 집이 없는 사람은 상당 부분을 주거비로 내줘야 하고 그래서 삶도 악화하는 반면 (대부분에게는) 노동을 하지 않고 사는 게 꿈인 사회가 됐고 이것이 점점 심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지사는 이어 우리나라에는 사람을 때려 빼앗는 것, 대기업이나 권력처럼 힘을 이용해서 빼앗는 것, 그리고 희소성을 이용해 얻는 세 가지 불로소득이 있다고 꼬집었다. 그는 “우리나라 경제가 망가지는 제일 큰 이유는 (이 중)부동산 불로소득이고 대한민국의 생사가 걸린 문제가 되었고 (불로소득으로) 점점 상황이 악화하고 있다”며 “이를 줄이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최소한 완화하거나 확대 팽창 속도를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이 지사는 정부가 부동산 보유세 도입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 지사는 “국토보유세를 걷을 경우 국민들의 저항이 따르는 만큼 전액을 사회안전망 차원에서(기본소득 처럼) 국민에게 주자. 또 이것도 전국에 동시에 하려면 부담스럽고 힘드니까 할 수 있게 해주면 경기도가 먼저 하겠다고 (정부에) 제안했다”고 말했다.
이 지사는 이어 공공택지에서 생기는 이익만큼은 공공이 환수해 장기임대주택을 지어 공공에 되돌려주자고 제안했다. 그는 “경기도의 임대주택 지분이 현재는 35%로 되어 있는데 이것을 기본적으로 50%를 넘겨야 하고 분양가와 실제 거래가의 차익 부분의 용도를 제한해서 임대주택건설에 투입하는 것으로 만들어야 집을 가지고 생기는 투기 수요를 없앨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지사는 “토지가 개인의 돈벌이 수단이 돼선 안 된다는 사회적 논의를 경기도가 주도했다는 게 가장 자랑스럽다”고 자평했다.
이 지사는 또 경기도가 발주하는 관급공사부터 표준품셈을 적용해 하청 중소기업을 착취하는 불로소득을 원천 봉쇄할 것이라고도 했다. 표준품셈이란 건설 공사 중 대표적이며 일반화된 공법 등을 기준으로 하여 공사에 드는 자재 및 공사량을 정하여 정부 및 지방 자치 단체, 정부 투자 기관이 공사의 예정 가격을 산정하기 위한 기준을 말한다.
이 지사는 “실제 공사 가격으로 치면 최하 30~40% 이상 공사비가 부풀려져 있고, 입찰을 따낸 뒤 하청, 재하청, 재재하청으로 넘어가는 비정상적 구조에서 불로소득이 발생하고 과도한 관급공사비가 산정되는데 이런 걸 고치겠다”고 말했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