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민들이 환경단체에 조사를 의뢰한 각종 생활제품 4개 중 1개 이상에서 라돈이 검출된 것으로 조사됐다.
전북환경운동연합은 그동안 ‘생활방사능 119측정소’를 운영해 측정을 의뢰받은 218건의 제품 중에서 생활속 라돈 공기질 기준 수치인 4 pCi/L(리터당 4피코큐리, 1큐리는 라듐 1g이 1초 동안에 방출한 방사능의 양으로 피코큐리는 1조 분의 1큐리에 해당) 이상으로 검출된 제품은 26%인 45건이었다고 5일 밝혔다. 품목별로는 라텍스 제품 42건, 온열매트·이불·베개·팔찌·벨트 등 건강기능성 제품 2건, 대진침대 매트리스 1건 순이었다.
전북환경운동연합은 지난 7월3일부터 3개월 동안 119측정소를 운영했으며, 시민 117명이 제품 218건을 조사의뢰했다. 품목별로는 라텍스 제품이 178건(81.7%)으로 가장 많았고, 건강기능성 제품이 24건(11.0%), 대진침대 매트리스 12건(5.5%), 흙·돌침대가 3건(1.4%), 벽지 등 건축자재가 1건(0.4%)이었다.
이와 함께 전주시의 라돈측정기 대여신청도 지난 8월1일부터 지난 1일까지 1144건이 접수됐다. 이 중에서 613건의 자체 측정결과, 93건이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환경운동연합은 이같은 조사의뢰 건수와 품목들의 유형, 전주시 라돈측정기 대여신청 결과 등은 음이온이라는 형태의 생활방사능 제품이 광범위하게 일상에서 사용되고, 그만큼 이 제품들을 이용하는 시민들의 우려가 크다고 보고 있다. 이 단체 관계자는 “라돈이 기준치 이상 검출된 제품들에 대한 정밀조사와 교체 등 환경영향 최소화 방안이 필요하다. 수많은 가공제품에 대한 조사와 감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부처별 소관 가공제품의 규제, 이와 연계한 방사선 안전규제 구축을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전주시 덕진구 한 아파트 욕실제품에서 라돈이 기준치보다 10배 이상 초과해 측정되는 등 생활속 방사능에 대한 시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어 각종 제품들에 대한 방사능 안전규제 구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