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9년 10월 부산마산민주항쟁 당시 계엄령이 선포되자 부산시청(부산 중구 중앙동) 앞에 탱크와 장갑차가 배치됐다. 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 제공
부산 시민들이 박정희 유신독재 정권에 항거했던 부마민주항쟁 국가기념일 추진을 위해 본격적으로 나섰다.
부마민주항쟁기념사업회는 “16일 오후 5시 중구 영주동 부산민주공원에서 열리는 제39회 부마민주항쟁 기념식에서 부마민주항쟁 국가기념일 지정 추진위 발대식을 연다”고 8일 밝혔다. 추진위는 발대식 뒤 부마민주항쟁 국가기념일 지정을 위한 100만 서명운동을 시작한다. 이를 통해 여론을 모아 정부에 국가기념일 지정 필요성을 알릴 계획이다. 국가기념일은 대통령령에 따라 국무회의 등에서 대통령 선언으로 정해질 수 있다. 추진위 관계자는 “국무총리 소속 부마민주항쟁 진상규명 및 관련자 명예회복 심의위원회가 10월16일을 부마민주항쟁 국가기념일로 지정 추진을 결정함에 따라 국가기념일 지정에 더욱 힘이 실릴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앞서 부마민주항쟁 관련 단체는 지난달 21일 부마민주항쟁 40주년을 맞은 2019년 10월16일을 국가기념일 지정 추진을 결정했다. 부마민주항쟁 국가기념일 지정을 놓고 부산 쪽은 부산대 학생들이 서면 등 시내로 진출해 첫 가두시위를 진행했던 1979년 10월16일을, 창원 쪽은 마산으로 항쟁이 번진 10월18일을 국가기념일로 지정해야 한다고 각각 주장했다. 이후 이들은 역사·사회학자 등의 조언을 받아 부마민주항쟁 기념일을 10월16일로 뜻을 모았다.
부마민주항쟁은 1979년 10월16일 부산, 이틀 뒤인 18일 경남 마산에서 유신체제 종식 등 민주화를 요구하며 일어났다. 정부는 계엄령 선포 등으로 무자비한 진압작전을 벌였다. 이 과정에서 3명이 숨지고 1563명이 연행됐다. 부마민주항쟁은 박정희 정권의 유신독재를 무너뜨린 계기가 됐다.
김영동 기자
yd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