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정 의원, 문화정보원 자료 확보
경력증명 안 내고도 서류심사 최고점
해당 공무원 “딸 스스로 결정…채용 관련 없다”
전자정부사업 공모한 문화정보원
지원기관 선정 참여 공정성 논란도
경력증명 안 내고도 서류심사 최고점
해당 공무원 “딸 스스로 결정…채용 관련 없다”
전자정부사업 공모한 문화정보원
지원기관 선정 참여 공정성 논란도
전자정부 지원사업에 응모해 지원금을 받은 정부기관에 이 사업을 담당한 행정안전부 공무원의 자녀가 특혜 취업을 했다는 의혹이 불거졌다. 지원사업 선정 과정에 응모기관 관계자가 참여한 사실도 확인되면서 정부의 전자정부 지원사업의 공정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9일 이재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자료와 <한겨레> 취재 결과를 종합하면, 행안부 소속 ㄱ사무관의 자녀 ㄴ씨는 2017년 7월 한국문화정보원(문화정보원)의 직원 공채를 거쳐 ‘7급 상당 계약직’으로 입사한 뒤, 정부의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에 따라 무기계약직으로 전환됐다. ㄴ씨는 앞서 ㄱ사무관이 전자정부 지원사업을 맡고 있던 2015년 6월 문화정보원에서 한달 동안 ‘기간제 일용직’으로 근무했다. ㄴ씨가 입사하던 해 문화정보원은 전자정부 지원사업에 선정돼 정부 지원금 5억원을 받았다. 다만, 이 시기 ㄱ사무관은 해당 사업을 담당하진 않았다.
ㄴ씨의 2017년 입사 과정도 불투명하다. 당시 ㄴ씨는 지원 서류에 자신이 근무했다고 기재한 업체 세곳의 경력증명서를 2곳은 면접이 끝난 뒤에 제출했고 1곳은 제출하지 않았다. 그는 또 해당 기관에서 기간제 일용직으로 근무했으나 ‘인턴’으로 근무했다고 지원 서류에 기재했다. 다른 일용직 근무자들은 지원서에 ‘아르바이트’라고 기재한 점과 차이가 났다. 그런데도 ㄴ씨는 지원자 가운데 최고점인 210점을 받아 44 대 1의 경쟁률을 뚫고 문화정보원에 합격했다.
ㄴ씨 채용 과정에 심사위원으로 참여한 문화정보원 ㄷ부장도 눈에 띈다. 그는 ㄴ씨의 아버지인 ㄱ사무관과 전자정부 지원사업으로 얽혀 있었기 때문이다. 2016년 문화정보원은 전자정부 지원사업을 담당했던 ㄱ사무관 등과 ‘전자정부 다부처 연계 플랫폼 구축방안 관련 업무협의를 위한 간담회’를 열어 조기발주 지원 요청 등에 관한 사항을 논의했는데, 이 간담회는 2017년 3월 사업이 확정되기도 전에 열린 것이었다. 사업 확정 전에 사업에 선정될 것을 상정하고 업무협의를 한 셈이다.
더욱이 이 사업은 ㄷ부장이 지원기관 선정 과정에 참여하기도 했다. 그는 행안부에서 예산을 받아 집행하는 정보화진흥원이 ‘2017년 전자정부 지원사업 중기재정 수요조사서 1단계 전문가 검토회의’를 열었을 때, 외부평가위원으로 참여했다. 이후 문화정보원은 2017년 ‘문화정보 중심의 다부처 연계시스템 구축’ 사업을 따냈다. 정부의 전자정부 지원사업 검토 과정에 지원 대상 기관 관계자가 참여한 것이다.
ㄱ사무관은 “나는 딸이 문화정보원에 지원하는 것을 반대했으나, 딸이 스스로 결정한 일”이라며 “내가 ㄷ부장과 안면이 있는 사이지만 채용에 영향을 준 것은 전혀 없다”고 의혹을 부인했다. 그는 또 문화정보원의 사업 선정과 관련한 ‘짬짜미’ 의혹에 대해선 “과거 전자정부 지원사업 관련 담당자로서 전문적 조언을 해줬을 뿐 해당 사업이 언제 선정됐는지 몰랐다”고 말했다.
채윤태 기자 cha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