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도 정도 천년 기념식’이 18일 전북 전주시 옛 전라감영 터 일대에서 열렸다. 송하진(왼쪽에서 세번째) 전북지사, 이용섭(오른쪽에서 두번째) 광주시장, 김영록(왼쪽에서 두번째)전남지사 등이 참석해 박수를 치고 있다. 전북도 제공
전북도와 광주시·전남도가 주최하는 ‘전라도 정도 천년 기념식’이 18일 오전 전북 전주시 완산구 중앙동 옛 전북도청 자리에 복원 중인 전라감영 터 일대에서 열렸다.
전라도라는 이름이 명명된 1018년의 역사적 의미를 살려 기념일을 2018년 10월18일로 정했다. 기념식이 열린 전라감영은 조선왕조 500년 동안 전라도의 지방통치 행정기구였다. 이날 행사에 송하진 전북지사와 이용섭 광주시장, 김영록 전남지사를 비롯해 1천여명이 참석했다.
‘전라도 정도 천년 기념식’이 18일 전북 전주시 옛 전라감영 터 일대에서 열려 국민의례가 이뤄지고 있다. 전북도 제공
송 지사는 기념사를 통해 “전라도는 임진왜란 당시 의병 활동, 동학농민혁명, 5·18민주화운동 등으로 나라가 위기에 처할 때마다 결연히 일어나 시대정신을 이끌었다. 오늘을 기점으로 융성했던 전라도의 역사와 문화를 재조명하고 새로운 천년의 역사를 시작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지난 천년의 자랑스러운 역사를 깊이 간직하고 다가올 새천년에 전라도를 더욱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화답했다. 기념식을 끝내고 내빈들은 다가올 새천년에 대한 희망의 메시지를 적은 쪽지를 타임캡슐에 넣고 봉인했다. 행사는 새천년의 문을 여는 두드림 퍼포먼스, 120여명이 출연하는 전북도립국악원의 전라도 천년 특별공연을 끝으로 마무리했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전라도 정도 천년 기념식’이 18일 전북 전주시 옛 전라감영 터 일대에서 열렸다. 새천년 희망의 메시지를 적은 쪽지를 타임캡슐에 넣고 봉인했다. 전북도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