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훈 의정부경전철시민모임 대표가 23일 오전 경기 의정부시청 정문 앞에서 청사 출입 통제시스템 철회를 요구하는 1인 시위를 벌이고 있다. 의정부시청사 출입통제시스템 반대모임 제공
경기 의정부시가 말로는 시민 소통을 강조하면서 시민의 청사안 출입을 통제하는 출입통제시스템 도입에 나서 시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시민들은 안병용 시장에게 출입통제시스템 도입 경위를 밝히고 공개 사과할 것을 촉구했다.
23일 의정부시와 시민단체의 설명을 들어보면, 의정부시는 초기 설치비용 1억3천만원을 들여 본관과 신관, 별관 27곳에 출입통제장치를 설치중이다. 시는 이달 말까지 공사를 마치고 다음달 초부터 출입통제 시스템을 운영할 예정이다. 전국 226개 기초 지방정부 가운데 청사 안에 출입통제장치를 설치한 곳은 의정부시가 유일하다.
출입통제시스템이 작동되면 시민들은 입구에서 방문 목적, 해당 업무부서와 연락처를 밝히고 신분증을 맡기고 방문증을 받아 게이트를 통해 들어가고, 반드시 입구를 통해 나와 신분증을 되돌려 받아야 한다.
의양동환경운동연합 등 지역 시민단체 활동가들은 ‘의정부시청사 출입통제시스템 반대모임’을 꾸리고 지난 18일부터 시청 정문 앞에서 철회를 요구하며 1인 시위를 벌이고 있다.
이들은 최근 성명을 내어 “시청사를 걸어 잠그는 이번 의정부시의 조처는 시민을 잠재적 범죄인 취급을 하는 것이며 지방자치와 민주주의의 근간을 흔드는 사안”이라며 “다른 지자체들은 시청사를 단순히 공무원의 업무공간으로만 제한하지 않고 시민 모임방, 체력단련식, 옥상정원 등 시민이 자유롭게 이용하는 열린 공간을 모색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는 다른 지자체들이 하지 않는 예산 낭비사업이며, 시민에게 영향을 미치는 중대사안인데도 의견 수렴과정을 거치지 않고 예비비를 지출해 강행하는 대표적인 불통사업”이라고 비판했다.
경기 의정부시가 전국 기초 지자체 중 최초로 시청사 출입 통제시스템 도입을 위한 게이트 설치 공사를 벌이고 있다. 의정부시청사 출입통제시스템 반대모임 제공
이에 의정부시 관계자는 “최근 경기도 내에서 발생한 공무원 폭행과 민원실 화재사건, 봉화군 민원인의 공무원 살해사건 등으로 청사 보안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의정부시는 2016년과 최근 장애인 부모들의 무단 점거 장기 농성으로 재산상 피해와 공무수행 차질을 빚은 바 있다”며 출입 통제시스템 도입 이유를 밝혔다.
앞서 의정부시청 로비에서는 한 장애인부모단체가 발달장애인평생교육비전센터 설치 등을 요구하며 한달간 농성한 뒤 지난 12일 자진 해산한 바 있다.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