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생선’ 명태의 개체수 회복을 위한 명태살리기 프로젝트의 성과가 미미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박완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3일 강원도청에서 열린 국정감사에서 명태 자원회복을 위해 정부와 강원도 등이 최근 3년간 명태 인공종자 약 30만 마리 방류했지만 현재까지 생사가 확인된 방류 개체는 3마리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꼬집었다. 박 의원이 해양수산부에서 받은 ‘명태 방류 효과 조사 결과’ 자료를 보면, 정부는 2016년 세계최초로 명태 완전양식 기술개발에 성공한 뒤 지금까지 30만 마리 정도를 방류했다. 정부는 올해 70만 마리를 추가 방류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정부가 2016년부터 연근해에서 잡은 명태 1701마리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방류 개체와 유전자가 일치하는 것은 3마리밖에 없었다. 2017년 속초위판장에서 수집한 명태 67마리 중 2마리와 2018년 속초위판장에서 수집한 514마리 중 1마리다. 박 의원은 “명태 자원회복을 위한 길은 아직도 멀다. 명태의 산란·회유 경로로 추정되는 강원도 고성에 명태 전문 연구센터를 설립하고 효과 분석도 확대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명태는 1980년대까지 국민생선으로 불릴 만큼 흔했지만 10여년 전부터 ‘금태’로 불릴 정도로 귀한 물고기가 됐다. 명태 어획량은 1981년 16만5000t에 달했지만 2014년에는 2t에 불과할 정도로 씨가 말랐다. 해양수산부는 지난 7월 명태포획을 연중 전면 금지하는 내용의 수산자원관리법 시행령 개정안을 마련했으며 심사 등을 거쳐 내년 1월1일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박수혁 기자 ps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