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에 전국 3대 항으로 꼽히던 전남 목포의 문화유산 관리가 주민의 기대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목포문화연대는 24일 성명을 통해 “목포는 군산, 영주 등과 함께 문화재청의 근대역사문화공간으로 지정될 정도로 유산들이 많다. 하지만 문화유산을 새롭게 등록하고, 지정문화재를 제대로 보존하려는 노력은 부족하다”고 밝혔다.
목포문화연대는 “문화적 가치를 인식하지 못한 탓에 석현동 죽동교회가 철거되고 무안동 옛 동본원사도 사라질 뻔했다. 이를 반성하며 최근 5년 동안 시문화유산 30건을 등록해 이 가운데 문태고 본관, 옛 목포부청 서고, 정광정혜원 등이 등록문화재가 됐다”고 밝혔다.
목포문화연대는 “지난 8월 근대역사문화공간 지정을 계기로 ‘째보선창’, ‘보리마당’, ‘목포의 눈물’ 등 새로운 문화유산을 발굴하는 데 관심을 가져야 한다. 문화재청 공모사업인 원도심 재생과 목포 야행 등에도 다양한 전문가의 의견을 들을 필요가 있다”고 촉구했다.
하지만 목포시는 올해 들어 건축 역사 예술 등 여러 분야 전문가 15명으로 꾸려진 시문화유산위원회를 한 차례도 열지 않았다. 이 때문에 올해는 문화유산과 보호구역을 지정하기 위한 논의를 전혀 하지 못했다. 시 문화유산 조례를 보면, 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을 심의하기 위해 해마다 1월, 7월에 정기회의를 열고, 필요할 때 임시회의를 개최할 수 있다.
정태관 목포문화연대 대표는 “과거에도 죽동교회 훼철이나 동본원사 보존 등을 다루기 위해 회의를 여러 차례 요구했으나 응하지 않았다. 아무런 이유 없이 회의를 열지 않는 것은 조례위반이고 직무유기”라고 말했다. 또 “문화재가 많은 목포는 다른 지역보다 시문화유산위원회의 역할이 중요하다. 위원회를 유명무실하게 만들어선 안 된다”고 호소했다.
목포시 쪽은 “올해 근대역사문화공간 등록과 목포 야행 등 굵직한 사업을 잇달아 추진하면서 시간을 내지 못했다. 늦었지만 11월에 회의를 열어 위원들의 바람과 의견을 듣겠다”고 했다.
일본영사관과 동양척식회사, 동본원사 등 근대 건축물이 많은 목포지역에는 지난해까지 국가지정 문화재 4건, 등록문화재 12건, 도지정 문화재 10건, 도지정 문화재자료 3건, 목포시 문화유산 30건 등이 문화재로 관리되고 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