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훈 광주광역시 문화경제부시장이 24일 광주시의회 3층 브리핑룸에서 윤종해 한국노총광주본부 의장, 박병규 전 광주시 경제부시장, 이기곤 기아차 전 지회장 등과 함께 '현대차 투자유치 성공을 위한 원탁회의 출범'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연 뒤 손을 맞잡고 있다. 광주광역시 제공
문재인 정부 100대 국정과제의 하나인 노사상생형 ‘광주형 일자리’ 사업에 불참을 선언했던 노동계가 광주시와 대화를 재개하기로 했다. 더불어민주당은 빛그린 산단 노동자의 복지지원 관련 예산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기로 했다. 광주형 일자리 정책의 성공을 위해선 앞으로 생산 차종을 친환경차로 전환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국노총은 24일 오후 광주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광주시와 ‘현대차 투자유치 성공을 위한 원탁회의’를 출범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지난달 19일 광주형 일자리 합작투자와 관련해 불참을 선언한 지 35일 만에 노동계가 다시 대화의 장으로 나온 것이다. 원탁회의는 박병규 전 광주경제부시장이 의장을 맡고, 노동계 2명과 전문가 2명, 광주시 대표 2명이 참여해 현대차 투자협상 결과를 공유하고 협상 체계를 정립하는 역할을 맡는다. 원탁회의 1차 회의는 25일 열리고, 2~3회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윤종해 한국노총 광주본부 의장은 “노동계도 광주형 일자리를 처음부터 주창한 만큼 성공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도 광주형 일자리 성공은 문재인 정부의 핵심공약이라며 적극 지원을 약속했다. 이날 오전 광주시의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예산정책협의회에서 이해찬 대표는 “광주형 일자리 문제를 이제는 매듭지어야 한다. 당·정·청 협의를 통해 실현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같은 당 홍영표 원내대표는 “광주형 일자리 관련해 (노동계와) 협의도 안 된 상태에서 예산을 확정할 수 없다. 1~2주 안에 합의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동계의 대화 참여와 여당의 지원 방침 발표로 ‘좌초 위기’는 넘겼지만, 정책 성공을 위해선 해결해야 할 과제가 적지 않다. 일각에선 광주형 일자리 모델 생산 차종을 친환경 자동차로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빛그린 산단 생산 차종이 현대자동차가 개발한 1000㏄급 소형스포츠유틸리티(SUV) 차량이라는 점 때문이다. 광주시 쪽은 “현대자동차 쪽에선 국내에서만 최소 연 7만대가 팔릴 것으로 보고 있다”고 낙관하지만 최근의 소비 경향을 고려하면 판매가 난항을 겪을 것이란 우려가 적지 않은 탓이다. 홍영표 원내대표도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친환경차와 자율자동차 중심으로 자동차 산업 생태계가 변하고 있다. 광주 빛그린 산단에 유치하려고 하는 것도 친환경 자동차”라고 말했다.
정대하 기자
daeh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