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고형폐기물소각장 백지화 시민대책위원회’와 전주시가 소각장 신설을 막기 위해 공동대응에 나섰으나, 불협화음이 일고 있다.
시민대책위는 5일 “인터넷카페에 고형폐기물 소각시설에 대한 언급 없이 발전시설만 막겠다는 홍보물을 주민대표가 문제를 제기하자, 전주시 간부로 추정되는 ‘다루천사’라는 닉네임 사용자가 이 주민대표의 활동을 조롱·음해하는 글을 지난 1일 저녁에 올렸다”고 주장했다. 대책위가 공개한 ‘전주 부동산의 모든 것’이란 주민대표의 글 아래 카페 게시글을 보면, “앵간치(어지간히) 하시게요. 소각시설은 전부터 있었다”, “(김승수 전주시장) 안티팬이어서 세 규합을 하시는지…정치적 표현은 자제 부탁한다”는 ‘다루천사’의 댓글이 올라 있다.
시민대책위는 이어 “해당 간부가 6·13지방선거를 앞둔 지난 6월7일, ‘실정했다 생각하시는 김ㅅㅅ(시장)도 문제지만 특정 후보를 위해 반복적으로 김ㅅㅅ 관련 네거티브만 하는 분들도 문제네요’ 등 시민대책위 활동이 특정 정치인을 위한 것처럼 글을 올리고 조롱했다”고 주장했다. 시민대책위는 “해당 국장이 신분을 숨긴 채 사실을 왜곡하며 대책위·주민 활동을 음해했다”며 당사자의 사과와 징계를 요구했다.
시민대책위는 또 “지난 10월29일 전주시가 발표한 ‘팔복동 폐기물처리시설 민관 공동대응단 구성’이라는 제목의 보도자료는, ‘전주시장의 책임 있는 사과와 해결방안의 제시 없이는 공동대응하지 않는다’는 대책위 입장을 전달했음에도 마치 합의한 것처럼 허위로 만들어졌고, 시 집행부와 시의회의 ‘소각발전시설 저지 공동결의문 채택’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지난달 27일 전주시 만성지구 일대에서 아파트 주민들이 소각장과 발전시설 설치를 반대하는 촛불집회를 열고 있다. 2차 촛불 행동이 오는 10일 열린다. 시민대책위 제공
이홍재 주민대표는 “소각장과 700여m 떨어진 곳에 초·중학교가 곧 들어설 예정인데, ‘전부터 소각시설이 있었으니까 괜찮다’는 식의 사고에 화가 난다. 의혹 해소와 대책 마련을 위해 시의회가 조사특별위원회를 꾸려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제의 간부는 “주변 아파트에 사는 주민으로서 주민대표의 주장이 일부 사실이 아닌 게 있어 항변하는 차원에서 말한 얘기다. 잠시 공무원 신분을 망각한 점을 사과한다”고 말했다. 전주시는 “보도자료는 앞으로 주민대표, 환경단체, 변호사와 함께 민관 공동대응단을 구성해 적극 대응 방침을 밝힌 자료였다. 허가과정 의혹에 대해 우리 시가 전북도와 감사원에 공익감사를 청구했다. 고형연료 소각발전시설을 반드시 막아낼 것”이라고 밝혔다.
김승수 전주시장이 5일 전주시청 브리핑룸에서 팔복동 폐기물 고형연료 소각발전시설을 반드시 막아낼 것이라고 밝혔다. 전주시 제공
폐기물업체인 ‘주원전주’는 전주시 덕진구 팔복동 폐기물 소각장시설 확대와 고형연료(SRF) 발전시설 건설을 추진했다. 주민 반발이 거세졌고 전주시가 추진 중단을 시키자, 발전시설의 공사 중지와 원상회복명령 행정처분 취소를 요구하는 행정소송을 내 지난 2월 승소했다. 항소심 선고가 5일 예정됐으나 시의 변론 재개 요청으로 연기됐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