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의정부시가 12일 전국 기초 지자체 중 최초로 시청사 출입통제시스템 가동에 나서자 이에 반대하는 시민들이 항의 시위를 벌이고 있다. 의정부시청사 출입통제시스템 반대모임 제공
경기 의정부시가 12일 전국 기초지자체 가운데 처음으로 청사 출입통제시스템 가동을 강행하자, 이에 반대하는 시민들이 시청 앞에서 집회를 열고 주민감사청구를 결의하는 등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의정부시청 출입통제시스템 반대 시민모임’은 이날 발표한 입장문에서 “압도적인 시민의 반대여론에도 불구하고 출입통제시스템을 강행한 것은 충분한 대화와 의견수렴을 거쳐서는 추진할 명분과 정당성이 없다는 것을 시장 스스로 인정하는 것”이라며 “의정부라는 도시공동체가 불신·통제의 방향으로 파괴되느냐, 신뢰·공존의 열린 공동체로 발전하느냐 하는 중대 갈림길에 서 있다”고 밝혔다.
이들은 또 “재난 등 긴급상황 때 사용해야 할 예비비 1억2천만원을 출입통제시스템 사업비로 쓴 것은 위법”이라며 경기도에 주민감사청구를 하겠다고 밝혔다. 김성길 시민모임 회원은 “예비비 집행은 ‘예측 불가능성’과 ‘긴급성’을 필요로하는데, 집단민원 대비용이라는 출입통제시스템 설치에 예비비를 집행하는 것은 시의회의 사전 승인을 피하려는 꼼수”라고 주장했다. 의정부시의 올해 예비비는 133억원으로 총예산(8093억원)의 1.65%를 차지한다.
12일 경기 의정부시청사 정문에 나붙은 시청출입 안내문.
앞서 안병용 의정부시장은 지난 5일 기자간담회를 열어 “뉴타운 반대단체 집단시위, 빼뻘주민 집단시위, 장애인차별철폐연대 시장실 점거와 새누리장애인부모연대 무단 점거 때문에 시청사를 찾는 시민들의 불편과 직원들의 정상적인 업무 추진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했다”며 시스템 도입 배경을 설명했다.
출입통제시스템은 일반민원실 통로 5곳, 신관 중앙현관 4곳 등 모두 27곳에 설치됐다. 시민들은 시청사 입구에서 방문 목적, 해당 업무부서와 연락처를 밝히고 신분증을 맡겨야 출입이 가능하다.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