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자립 섬인 전남 진도 가사도에 설치된 풍력발전기 한국전력 제공
태양과 바람을 활용한 에너지 자립 섬의 경험을 인도적 차원에서 북한에 제공하자는 제안이 나왔다.
전남도의회 강정희 의원은 14일 전남도를 상대로 한 행정사무감사에서 “도가 유인도 275곳에서 사는 주민 18만명의 생활불편을 덜기 위해 에너지 자립 섬 사업을 확대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섬 주민이 조명과 난방, 취사 등에 쓰는 에너지를 태양광·풍력·지열 발전으로 자급하도록 하고 있다. 송전선이 놓이지 않아 섬 안에서 경유 발전기를 제한된 시간 동안 가동해야 하는 주민 50~60명 규모의 작은 섬들이 대상이다. 이 사업은 전남뿐 아니라 경북 울릉도, 인천 덕적도, 충남 삽시도, 제주 추자도 등에서도 추진되고 있다.
전남도는 2010년부터 가사도, 거문도, 삼마도, 동거차도 등 14곳에서 이 사업을 마쳤고, 앞으로 서거차도 등 17곳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하지만 한전·엘지·한화·세방 등 기술력을 가진 기업들이 경제성이 낮다며 투자를 꺼리고 정부 지원도 부족해 속도가 더디다. 또 준공 이후 시설을 운용할 비용과 인원이 필요해 관리주체를 선정하기 어려운 점도 발목을 잡고 있다.
강 의원은 “정부가 신재생에너지 비율을 현재 7%에서 2030년 20%까지 올리겠다고 발표했다. 전남의 자연조건이 좋은 만큼 정확한 정보를 주민에게 제공해 사업을 확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남북 사이에 경제협력과 교류활동이 시작되면 이 사업으로 축적된 경험과 기술을 북한의 낙도나 오지에서 활용하도록 하자”고 제안했다. 강 의원은 이를 위해 산업통상부와 전남도가 공동으로 설립해 서남권 지역의 신재생에너지 기술을 전문적으로 개발해온 녹색에너지연구원의 적극적인 역할을 주문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