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세종청사 새 청사 국제설계공모전 1등작 예상도.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정부세종청사 새 청사 설계 공모전 당선작을 두고 심사 과정의 문제를 제기하며 심사위원장이 사퇴한 일과 관련해 국내 4대 건축가 단체가 공식적으로 “심사 과정에 문제가 있었다”고 비판하고 나섰다. 그러나 새 청사 건설 주무 부처인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심사에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는 의견을 다시 밝혔다.
대한건축사협회, 한국건축가협회, 새건축사협의회, 한국여성건축가협회 등 건축단체 4곳은 1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성명을 내어 “국민이 요구하는 질 높은 공공건축 설계를 위한 공모와 관련해 국가 운영 시스템이 매우 취약해 건축 설계 공모의 심사 과정에서 지속적인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며 “공공건축은 사회적 역할을 위한 합의와 전문적 기반에서 공모와 심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또 행정안전부,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발주 부처 공무원들이 공모전의 심사위원으로 참여하고, 외부 심사위원 전원을 정부 공무원들이 추천하는 관행에 대해서도 제도 개선을 촉구했다. 이들은 ‘발주기관 소속 공무원, 임직원은 전체 위원수의 30%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심사위원으로 구성할 수 있다’고 규정된 국토교통부의 ‘건축설계공모 운영지침’을 개선하라고 요구했다. 또 “발주자의 공공 건축물 가이드라인 제시라는 잘못된 관행이 반복돼서는 안 된다”며 “공공건축의 기획과 설계, 공사를 아우르는 생산 과정은 국민에게 투명하게 열려야 하고, 공정성과 품질을 담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부세종청사 새 청사 국제설계공모전 2등작 예상도.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그러나 이들은 성명에서 새 청사 설계 공모 결과에 대해서는 언급하진 않았다. 4개 건축단체 회의에 참석한 한 건축가는 “건축가들은 대체로 당선된 설계안에 공감하지 못했다”면서도 “다만 이 내용을 성명에 담으면 건축가들과 정부 사이에 분란이 일어날 수 있다고 봐서 넣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또 한 건축가는 “건축가 협회나 회원들은 정부로부터 공공건축물 설계를 수주해야 하는 입장에 있다 보니, 보수적인 성명을 낼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관계자는 “심사는 관련 절차에 따라 진행돼 아무런 문제가 없다. 재심 계획도 없다”고 말했다.
채윤태 기자
cha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