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부산시청 앞 광장에서 부산지하철노조가 부산시 단체교섭 부당개입 중단과 사태해결을 촉구하는 결의대회를 열었다.
부산지하철 노조가 부산시의 부당개입으로 올해 단체교섭이 중단됐다고 주장하며 사태해결을 촉구하고 나섰다.
노조는 26일 부산시청 광장에서 간부결의대회를 열어 “도시철도 운영주체인 부산교통공사와 지난 8월부터 진행 중이던 단체교섭이 시의 부당개입으로 중단됐다. 시는 올해 단체교섭 평화적 해결에 노력하라. 오거돈 부산시장의 노동존중, 시민 행복, 공공성 강화 공약을 이행하라”고 요구했다.
시는 지난달 30일 산하 공공기관에 ‘민선 7기 공공기관 혁신 가이드라인’을 보냈다. 노조는 시가 이 가이드라인에 ‘무인운전 확대 검토’ ‘성과상응보상체계’ 등 지침을 제시하며 지하철공사에 임금동결을 요구해 사실상 노사 단체협상에 지침을 내린 것이라고 주장했다.
노조는 또 “교통공사 사장이 없어 직무대행 체제로 꾸리고 있는 공사 경영진은 노조와의 교섭을 피하기에 급급하다. 시는 부당개입을 즉각 중단하고, 노사 간 자율 협의를 존중해야 한다.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면 다음달 5일부터 총파업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노조는 지난달 26일 부산지방노동위원회 조정종료 결정에 따라 쟁의권을 확보했다. 다음달 3일 부산지방노동위원회의 사후 조정신청 회의 결과에 따라 노조의 총파업 여부가 판가름난다.
시 기획재정관실 관계자는 “혁신 가이드라인은 공사 재정운영 개선방안을 찾아보자는 뜻일 뿐”이라며 선을 그었다. 이어 “임금 체계와 관련한 사항은 노사가 협의를 통해 결정할 문제다. 노사 간 원만한 협의가 이뤄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부산/글·사진 김영동 기자
yd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