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효상 정의당 울산시당 위원장이 27일 울산시청 앞에서 시의회의 2년 뒤 의정비 인상 결정에 항의해 이틀째 밤샘농성을 벌였다.
더불어민주당이 다수의석을 차지한 울산시의회가 의원들의 4년간 의정비를 논의하며 2년 뒤 인상안을 결정하자 바른미래당과 정의당, 민중당 등이 모두 반발하고 나섰다. 정의당 울산시당은 울산시청 앞에 천막을 치고 항의농성에 들어갔다.
이효상 정의당 울산시당 위원장은 27일 울산시청 앞에서 울산시의회에 의정비 인상계획 철회를 촉구하며 이틀째 밤샘농성을 벌였다. 그는 “지역경제가 유례 없이 어려운 시점에 시의회가 셀프 임금 인상을 추진하는 것은 시민들의 어려움을 외면하는 것으로 지탄받아 마땅하다. 갈수록 어려워지는 서민·노동자의 삶을 헤아려 의정비를 자진 삭감하겠다고 결의해도 모자랄 판”이라고 꼬집었다.
앞서 황세영 울산시의회 의장은 26일 기자회견을 열어 “2019년과 2020년은 의정비를 동결하고, 2021년과 2022년은 공무원 보수인상률에 준해 의정비를 연 2.6%씩 인상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울산시의회의 4년간 의정비는 오는 29일과 다음달 11일 울산시 의정비심의위원회에서 최종 결정된다. 울산시의회 의정비는 연간 5814만원(의정활동비 1800만원 포함)으로, 전국 17개 광역의회 가중 서울·경기·인천에 이어 4번째로 높다.
이에 대해 바른미래당 울산시당도 “시민들의 눈치를 본 꼼수 인상”이라며 “자발적인 의정비 삭감 의결”을 촉구했다. 민중당 울산시당도 “시의회가 맡겨진 일은 제대로 안 하면서 잇속만 챙긴다면 시민들의 외면과 분노에 직면할 것”이라고 비난했다.
이효상 위원장은 “6·13 지방선거 뒤 민주당이 주도하는 시와 의회의 달라진 모습을 기대했는데, 지금 지역경제 위기 상황에 대처하는 시와 시의회의 모습은 실망을 넘어 분노를 감출 수 없다. 지난 정권과 다른 점이 무엇이냐는 시민의 목소리를 전달하기 위해 결연한 의지로 이 자리에 섰다”고 농성 배경을 밝혔다. 그는 최근 정부·여당과 광주시가 추진하는 ‘현대자동차 광주형 일자리’와 관련해서도 “자동차산업의 중복·과잉투자로 국내 자동차산업 전체가 어려움에 처하고, 현대중공업 사태로 위협받고 있는 울산의 노동자 생존권과 지역경제를 더욱 악화시킬 것”이라며 울산시의 반대 입장 표명을 촉구했다. 그는 2010년부터 울산 중구의원을 재선하고, 지난 6·13 지방선거에서 낙선한 뒤 정의당 울산시당 위원장을 맡았다.
글·사진 신동명 기자
tms13@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