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유치추진단은 27일 오전 회의를 열어 협상팀에 투자조건 등에 대한 협상 및 합의 전권을 포괄 위임하기로 했다. 광주시 제공
난항을 겪고 있는 ‘광주형 일자리’ 협상의 성공을 위해 한국노총 등 지역 노동계가 광주시 협상팀에 전권을 위임했다. 광주시와 현대자동차가 광주형 일자리 모델을 근간으로 한 신설법인 투자 협상에서 돌파구를 찾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광주시와 한국노총 등이 참여하고 있는 ‘광주형 일자리 성공추진을 위한 투자유치추진단’(이하 추진단)은 27일 회의를 열어 광주시 협상팀에 신설법인의 투자 협상 전권을 포괄 위임하기로 결정했다. 광주시 쪽은 “협상팀이 체결하는 투자협약을 최종 합의로 수용하겠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회의는 광주시의 협상 보폭을 넓혀주기 위한 측면 지원 성격이 크다. 한국노총 광주본부 등 노동계는 지난 13일 “최종 협상은 협상팀에 위임하기로 했다”고 밝힌 뒤 이날 또다시 ‘협상을 위임했음’을 재차 밝힌 셈이다. 지난 13일 광주시와 노동계의 합의문이 나온 뒤 한발 짝도 나가지 못하는 협상을 진전시키기 위한 고육책이다. 현대차는 지난 6월1일 사업의향서를 냈을 때보다 투자조건이 더 악화됐다며 광주시 협상안에 난색을 표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신설법인의 제1 투자자인 광주시는 민선 7기 들어 현대자동차와 13차례나 만나 협상을 했고, 한국노총과도 8차례나 만나는 등 양쪽의 의견을 들어가며 균형점을 찾아가고 있다. 광주시는 내년도 국비에 사업비를 반영하기 위해 국회 예산 심의가 끝나는 다음달 2일까지 협상을 마무리할 방침이다. 이병훈 광주문화경제부시장은 “지난 13일 합의에서 제한적으로 협상 권한을 위임했던 노동계가 포괄적으로 협상 전권을 위임한 것”이라고 전했다.
하지만 신설법인 노동자의 적정 임금수준과 근로시간, 단체협상 5년 유예 등과 관련해 광주시와 현대자동차의 견해차가 커 타결이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전국금속노조 현대자동차지부(이하 현대차 노조)가 광주형 일자리 협상이 타결될 경우 총파업을 불사하겠다며 반발하는 것도 부담이다. 여권 일각에서 광주형 일자리를 다른 지역도 유치할 수 있게 ‘공모형’으로 바꾸자는 제안이 나오는 등 ‘정치적 기류’가 미묘하게 바뀌는 점도 변수다.
정대하 기자
daeh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