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에 설치된 평화의 소녀상 모습. 강릉시청 제공
대법원 강제징용 배상 판결과 위안부 화해치유재단 해산 등으로 급속히 얼어붙은 한일관계가 기초지방자치단체 간 교류까지 불똥이 튀었다.
강원 강릉시는 일본 사이타마현 지치부시와 직원 상호파견 교류를 잠정 중단한다고 28일 밝혔다. 강릉시와 지치부시는 1983년 자매결연을 하고 35년 동안 활발한 문화·스포츠 교류를 해왔다. 지난달 31일에는 직원 상호파견 협정까지 맺었다. 이를 위해 강릉시는 6급 직원 1명을 선발했으며, 비자 발급 등의 절차가 끝나는 다음달께 지치부시에 파견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지난 26일 지치부시가 직원 상호파견 중단을 요구하는 공문을 보내면서 모든 일정이 중단됐다. 지치부시는 공문에서 “한일 양국 정세가 매우 불안정하다. 이런 상황에서 직원을 파견하면 직원 신변 안전이 우려된다. 지금은 시기가 좋지 않다. 파견을 잠시 연기하고 싶다”고 밝혔다.
갑작스러운 중단 요구에 당황한 강릉시가 지치부시에 다시 연락했지만 “강릉과 직원 교류를 한다는 내용을 전해 들은 시민들로부터 이메일이나 항의 전화를 많이 받았다. 사태가 조금 진정되면 상호파견을 개시하고 싶다”는 답변이 돌아왔다.
강릉시 관계자는 “당시 지치부시 쪽에서도 정확한 이유를 말하지 않아 최근 악화한 한일관계 탓이라고만 생각했다. 그러나 나중에 강릉에 설치된 소녀상 등이 원인이 됐다는 것을 알게 됐다. 안타까운 일이지만 일본에 파견할 직원 안전이 우선이기 때문에 직원 교류를 중단하기로 한 것”이라고 말했다. 강릉은 2015년 8월 강원도에서 가장 먼저 경포3·1운동기념공원에 평화의 소녀상을 세웠다.
한편, 일본 정부는 2018평창겨울올림픽 때 경기장 인근에 설치된 평화의 소녀상을 철거하라고 요구한 바 있다.
박수혁 기자
psh@hani.co.kr